매년 낙동강에서 유입되는 수백t의 해양 쓰레기로 몸살을 앓던 부산 사하구청이 대책 마련에 나섰다. 지역 항구에 드론 기지를 설립, 이곳에서 띄운 드론으로 파악한 해양 쓰레기 발생 양상에 따라 해결책을 모색하겠다는 것이다.
18일 부산 사하구청에 따르면 올해 사하구청이 다대포해수욕장 등 해안가와 무인 도서 등지에서 수거한 해양 쓰레기는 490여t이다. 주로 유목이나 폐어망 등으로 이뤄진 해양 쓰레기는 여름에 집중적으로 발생한다. 여름철 태풍, 집중호우 등으로 낙동강 상류에서 떠밀려온 각종 쓰레기가 출구 격인 사하구 앞 바다에 쌓이는 것이다.
올해는 지난해보다 많은 해양 쓰레기가 유입될 것으로 전망된다. 사하구청은 지난해 540여t의 해양 쓰레기를 수거했다. 올해 해양 쓰레기 발생 추세로 보면, 지난해 해양 쓰레기 양을 가뿐히 초과할 것이라는 게 사하구청 관계자 설명이다.
여름철에 해양 쓰레기가 집중되다 보니 피서객이 모이는 해수욕장에도 쓰레기가 쌓이는 실정이다. 이 때문에 피서객 불편 해소와 경관 관리 차원에서 매년 세금 들여 해양 쓰레기를 치우고 있다. 올해 낙동강 하구 쓰레기 정화 사업으로 편성된 예산은 13억 1200만 원으로 매년 13억 원가량의 세금이 쓰레기 처리 비용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에 사하구청은 올해 하반기 중으로 다대동 홍티항에 드론 기지를 조성하기로 시와 협의했다고 전했다. 드론이 이착륙할 수 있는 공간을 만들어서 낙동강에서 사하구 앞바다로 흘러 들어오는 해양 쓰레기의 정확한 경로와 양을 산출하겠다는 것이다. 해당 데이터를 토대로 해양 쓰레기 유입 방지책을 만들 예정이다.
이와 더불어 낙동강유역환경청에 유입 차단 시설 설치를 요청할 계획이다. 하류 지역에 차단막 시설을 둬 해양 쓰레기 유입을 최대한 막아달라는 취지다.
사하구청 해양수산과 관계자는 “내년부터 시와 본격적인 대책을 강구할 것”이라며 “정화사업 예산을 늘리기 위한 노력도 계속하고 있다”고 말했다.
김준현 기자 joon@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