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 대통령 유엔 연설 ‘북러 군사협력’ 경고 메시지 담는다

입력 : 2023-09-18 18:32:35
페이스북 페이스북 카카오 프린트

방미 3일 차 유엔총회서 기조연설 예정
대통령실 “북러 밀착 관련 메시지 있을 것”
북 미사일 도발에 중러 미온 태도 거론도
바이든 만남 땐 한미 억제력 재확인할 듯
각국 정상회담서도 국제사회 협력 촉구
한미일 안보실장, 공동 대응방안 협의
“무기 거래 금지 위반 땐 대가 치를 것”

제78차 유엔총회에 참석하는 윤석열 대통령과 김건희 여사가 18일 경기도 성남시 서울공항에서 미국 뉴욕으로 출국하기 위해 전용기인 공군 1호기에 올라 인사하고 있다. 연합뉴스 제78차 유엔총회에 참석하는 윤석열 대통령과 김건희 여사가 18일 경기도 성남시 서울공항에서 미국 뉴욕으로 출국하기 위해 전용기인 공군 1호기에 올라 인사하고 있다. 연합뉴스

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러시아 방문을 계기로 북러 군사협력 가능성이 커짐에 따라 윤석열 대통령의 대응 구상에 관심이 쏠린다.

윤 대통령은 미국 뉴욕에서 열리는 ‘제78차 유엔총회 고위급 회기’ 참석을 위한 출국을 하루 앞두고 17일 보도된 AP통신 인터뷰에서 “북한과 러시아의 군사협력은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와 각종 국제 제재에 반하는 불법적이고 정의롭지 못한 협력”이라며 “국제사회는 그러한 북러의 행동에 대응하기 위해 더욱 결속할 것”이라고 말했다.

윤 대통령은 또 “한미 양국은 북한의 어떠한 핵 공격도 한미의 즉각적·압도적·결정적 대응에 직면하게 될 것이고 이는 북한 정권의 종말로 귀결될 것임을 재확인했다”고 말했다. 이어 “앞으로 한미의 확장억제는 양국이 함께 협의, 결정, 행동하는 일체형 확장억제 체제로 발전할 것”이라며 “북한의 어떠한 핵·미사일 위협도 억제하고 대응할 수 있는 능력을 구현해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한미일 안보협력을 통해 힘으로 북한의 도발의지를 무력화하겠다는 의지를 천명한 것이다. 윤 대통령은 특히 방미 3일 차인 20일(현지 시간), 한국 시간으로는 21일 새벽 유엔총회 기조연설을 할 예정인데 여기서 북러 군사협력에 대해 단호한 경고 메시지를 낼 것으로 전해졌다.

윤 대통령은 안보리 상임이사국인 러시아와 중국이 북한의 미사일 도발에도 불구하고 추가적인 대북 제재 논의에 비협조적인 태도를 보이는 점도 거론할 것으로 전망된다. 대통령실 고위 관계자는 “유엔총회 연설에서 이번 북러 군사교류에 대해 적절한 분석과 메시지가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며 “미국과 일본을 포함한 주요 동맹 우방국들과 우리가 할 수 있는 개별 조치와 함께 취할 수 있는 다자간 조치 등에 대해서도 논의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윤 대통령은 이번 방미 기간 각국 정상과의 양자회담에서도 북러 밀착에 대한 국제사회의 협력을 촉구할 방침이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 조우할 경우 한미의 억제력과 한국에 대한 미국의 안보 공약을 강화하기 위해 외교적, 정보적, 군사적, 경제적 도구를 포함한 모든 가용한 수단을 사용할 것이라는 의지를 재확인할 것으로 보인다.

앞서 한미일 안보실장은 지난 14일 전화 통화를 갖고 북러 정상회담 개최에 대한 공동 대응 방안을 논의했다. 조태용 국가안보실장과 제이크 설리번 미국 국가안보보좌관, 아키바 다케오 일본 국가안전보장국장은 국제사회의 거듭된 경고에도 북러가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개발을 포함한 다양한 군사협력을 논의한 것에 대해 심각한 우려를 표명했다.

3국 안보실장은 “북한과 러시아는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 결의와 각종 국제 제재가 부과하고 있는 무기 거래와 군사협력 금지 의무를 준수해야 하며, 이를 위반할 경우 분명한 대가를 치르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아울러 “북러 간 무기거래와 군사협력 동향 파악 및 대응 방안 마련에 있어 3국 간 공조를 더욱 배가하고, 국제사회와의 연대를 강화해나가기로 했다”고 언급했다.

한편 김정은 위원장이 러시아 방문 일정을 마치고 귀국길에 올랐다고 조선중앙통신이 18일 보도했다. 김 위원장은 지난 10일 평양을 떠나 12일 러시아에 입국했고 13일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했다. 이후 극동 러시아 일대를 돌며 무기공장, 군부대 등을 시찰했다. 김 위원장이 이날 북한에 도착한다면 총 8박 9일 일정에 러시아 체류만 5박 6일에 달해 집권 이래 최장기간 해외 체류로 기록될 것으로 보인다.

박석호 기자 psh21@busan.com

당신을 위한 뉴스레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