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해 1000명당 의사 수 2.1명 그쳐…공공의료원 건립 더 서둘러야

입력 : 2023-11-20 14:37:58 수정 : 2023-11-20 18:22:11
페이스북 페이스북 카카오 프린트

2030년 공공의료원 설립 용역 중간결과
도시 규모 대비 의료서비스 ‘매우 부족’
‘원정 진료’ 시민, 전국 평균 배로 많아
“지역 의료 기반 열악 공공의료원 시급”


김해시청 전경. 부산일보DB 김해시청 전경. 부산일보DB

경남 김해지역 인구 1000명 당 의사 수가 2.1명에 그치는 등 의료서비스 기반이 매우 열악한 것으로 드러나 김해시가 추진 중인 공공의료원 개원을 더 서둘러야 한다는 지적이다.

20일 김해시에 따르면 지난 16일 보건소에서 김해 공공의료원 설립을 위한 타당성 용역 1차 중간 보고회를 개최했다. 용역을 맡은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은 김해시와 인구가 비슷한 충남 천안시, 전북 전주시, 경북 포항시, 제주도 제주시와 비교해 의료 관련 기초현황을 분석했다.

분석 결과 해당 지역 중 공공의료기관이 없는 곳은 김해시가 유일했다. 또한 격리병실과 무균실이 없고, 중환자실은 45병상에 그쳐 특수 병상 대비에 매우 취약한 것으로 조사됐다.

더욱이 지역 종합병원인 중앙병원이 최근 운영을 중단하면서 300병상 이상 종합병원도 전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구 1000명 당 의사 수도 2.1명으로 전주시 4.1명, 천안 3.4명을 훨씬 밑돌았다. 전국 평균 3.2명보다도 적어 전문의 인력 부족이 심각한 수준인 것으로 집계됐다.

특히 원정 진료를 떠나는 시민이 많아 2021년 기준 김해시 관외 진료비가 4400억 원에 달했다. 전체 환자의 41.1%로 전국 20.8%보다 배로 많았다. 김해에 있는 병원을 이용하는 환자는 외래 70%, 입원 50%로 345병상이 부족한 것으로 추산됐다.

김해시는 현재 2030년까지 서김해IC 인근 풍유동 3만㎡ 부지에 공공의료원 건립을 추진 중이다. 하지만 김해지역의 열악한 보건의료 인프라를 감안할 때 건립 시기를 최대한 앞당겨야 한다는 지적이 이어지고 있다.

김해시보건소 관계자는 “응급·소아·분만 환자의 유출이 많은데, 이중 산부인과 환자가 가장 많다”며 “병원에 가고 싶으나 갈 수 없는 환자도 17.6%로 경남에서 가장 높다. 김해 병원에서 수용이 안 되거나 치료비가 부족한 경우도 포함된다. 공공의료원이 필요한 이유”라고 전했다.

이 관계자는 또 “김해의 의료서비스 수준은 도시 규모에 비해 떨어진다. 공공보건 분야부터 점차 강화해 전반적인 의료서비스 수준을 한 단계 끌어올릴 계획”이라며 “현재 용역을 통해 객관화된 통계 자료를 마련하고 있다”고 말했다.

실제 김해시가 공공의료원 유치를 추진하게 된 것도 원정 진료를 떠나는 시민이 겪는 고통과 직간접적으로 발생하는 비용 부담에 주목하면서부터다.

코로나 팬데믹 때 김해 확진자들은 경남 창원과 진주는 물론 충청도까지 이동해 치료받아야 했다. 도내 중부권에는 마산의료원이 있고 서부권에는 2027년 진주에 공공의료원이 문을 열 예정인 만큼 동부권에도 세워 지역 간 공공의료서비스 격차를 해소해야 한다는 지적도 있다.

서김해IC 인근의 김해 공공의료원 예정 부지. 부산일보DB 서김해IC 인근의 김해 공공의료원 예정 부지. 부산일보DB

한편 김해 공공의료원은 경남도 중진료권 중 김해권으로 분류된다. 중진료권은 전국을 권역이 아닌 지역 개념으로 구분해 인접 시·군을 묶어 70개로 나눈 것이다. 경남은 창원·통영·진주·거창·김해권으로 나뉜다. 김해권에는 양산시와 밀양시를 포함된다.

경남도는 이번 용역 1차 중간 보고회에서 양산시와 밀양시에 대한 분석자료가 미흡하다는 의견을 내놨다. 동시에 경제적 사유로 병원에 가지 못하는 취약계층과 외국인 등 충분한 수요가 있다는 내용이 반영되어야 한다는 점을 지적했다.

김해시보건소 허목 소장은 “동부경남권 거점 공공병원 역할을 할 수 있도록 2차 중간 보고회에는 김해권인 양산시와 밀양시 관계자들도 참여하게 하겠다”고 밝혔다.

김해 공공의료원 설립 타당성 및 민간투자 적격성 조사 용역은 경남도와 김해시가 사업비 2억 4300만 원을 투입해 공동으로 진행한다.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이 맡아 내년 2월 완료하고 최종보고회를 열 예정이다.

이경민 기자 min@busan.com

당신을 위한 뉴스레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