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세계박람회(월드엑스포) 유치전에서 부산이 현격한 차이를 보이며 고배를 마셨지만, 월드엑스포를 계기로 논의가 진행됐던 지역 발전을 위한 로드맵은 예정대로 이행돼야 한다는 지적이다. 가덕신공항, 북항 재개발, 차세대 부산형 급행철도(BuTX) 등 굵직한 기반시설 추진사업은 월드엑스포 유치와 상관없이 지역균형발전을 위해서라도 반드시 추진돼야 한다.
그렇지 않아도 성장 원동력을 찾기 힘든 부산에서 월드엑스포 유치 불발이 지역 경제에 찬물을 끼얹지 않도록 정부 차원의 드라이브가 절실하다. 실망감을 감추지 못하는 지역 상공계도 부산의 절박한 현안들이 후순위로 밀리지 않아야 한다고 입을 모은다.
29일 정부와 부산시 등에 따르면 가덕신공항은 2029년 개항하고, 가덕과 기장을 33분 만에 잇는 차세대 부산형 급행철도가 깔릴 예정이다. 부산형 급행철도는 가덕신공항을 출발해 명지와 하단, 북항을 거쳐 부전, 센텀시티, 오시리아까지 54km 구간으로 건설된다.
북항 재개발 2단계 사업은 내년 7월 착공을 목표로 사업이 진행 중이다. 북항 3단계 사업도 이미 첫발을 뗐다. 북항 주변의 접근성을 향상시키는 다양한 도심 인프라도 개발될 예정이다. 이외에도 부산신항~김해고속도로, 가덕대교~송정 IC고가도로, 사상~하단과 하단~녹산 도시철도 건설, 미 55보급창과 8부두 이전, 국제금융도시 활성화 등 부산의 숙원 사업에 대한 논의가 엑스포 유치를 앞두고 이뤄졌다.
지역 상공계는 이 같은 논의가 한순간에 물거품으로 사라져선 안된다고 입을 모은다. 부산의 한 건설업계 관계자는 “당장 내년부터 5조~6조 원 규모의 신공항 토목 공사가 턴키 형태로 발주될 계획으로 안다”며 “벼랑 끝에 내몰린 지역 건설업체 입장에선 마지막 기회나 마찬가지다. 공사 계획이 지지부진하지 않도록 정부와 부산시 차원의 관심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지역 상공계는 내년 착공식을 통해 가덕신공항 건설이 첫 발을 내딛기를 바라고 있다. 공항공사가 꾸려지고 에어부산이 분리매각에 성공해 지역 거점 항공사로 가덕도신공항을 국제공항으로 발전시킬 수 있는 장을 열 수 있도록 정부와 정치권의 관심을 불러일으키겠다는 게 지역 상공계의 설명이다.
지역 경제의 중점 현안 중 하나인 에어부산 분리매각에도 관심이 쏠린다. 엑스포 유치 불발로 에어부산 분리매각 목소리에 동력이 실리지 않을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올 수 있기 때문이다. 지역 상공계 관계자는 “에어부산은 가덕도신공항을 거점으로 부산의 공공재 역할을 이어갈 것”이라면서도 “엑스포 유치 무산으로 지역 거점 항공사 필요성도 당위성을 잃게 되는 것 아닌지 걱정된다”고 우려했다.
부산상공회의소 장인화 회장은 “유치에는 실패했지만, 지금껏 활동을 통한 부산의 브랜드 가치 상승과 관광물류 인프라 확대는 향후 부산경제 발전의 마중물 역할을 할 것”이라며 “지역 경제계는 이번 도전이 끝이 아니라 새로운 시작이라 여기고, 운동화 끈을 다시 조여 매고 다음을 기약하겠다”고 밝혔다.
부산의 한 인바운드 여행사 관계자는 “엑스포 유치 과정에서 했던 노력들은 전세계에 부산이라는 브랜드를 각인시키는 계기가 됐다”며 “위기를 또다른 기회로 삼아 관광과 마이스 등 각 분야의 도시 경쟁력을 강화해 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안준영 기자 jyoung@busan.com , 윤여진 기자 onlypen@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