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상 첫 월드엑스포(등록엑스포) 유치를 향해 달린 대한민국과 부산의 도전에 제동이 걸렸다. 대한민국이 사우디아라비아에 큰 표차로 2030엑스포를 빼앗기면서 다른 모든 것에 앞서 자국 이익을 최우선시하는 국제 외교의 비정함이 새삼 확인됐다는 평가가 나온다.
그렇다고 2030엑스포 유치 무산이 국민 분열로 이어지는 결과는 누구도 바라지 않는다. 온 국민, 특히 부산 시민에게는 그 어느 때보다 격려가 필요한 시점이다. 2030엑스포 유치 과정에서 쌓은 역량도 이대로 흘려보낼 순 없다. 2029년 가덕신공항 조기 개항을 비롯한 부산의 숙제를 풀어나가기 위한 새로운 방향 설정도 필요하다.
짧은 탄식조차 내뱉지 못했다. 29일 오전 1시 20분(한국 시간)을 조금 지나 2030엑스포 개최지가 사우디로 결정되는 방송 장면이 국내에 송출된 순간을 지켜본 국민이라면 누구나 안타까움과 동시에 가슴 막히는 심정을 느꼈을 것이다. 각국 득표 수가 발표되기도 전에 패배를 직감할 수 있었다. 프랑스 파리 외곽 ‘팔레 데 콩그레’에서 진행된 제173회 국제박람회기구 총회장에서 사우디 대표단의 환호가 터져나온 것이다.
대한민국 국민의 안타까움을 뒤로 한 채 BIE가 뒤이어 2030엑스포 개최지로 사우디 리야드가 선정됐다고 발표했다.
165개 회원국이 참여한 가운데 전자·비밀투표 방식으로 진행된 이날 개최지 결정투표에서 부산은 29표로, 119표를 얻은 리야드에 90표 차 2위를 기록, 부산엑스포 유치 노력이 무위로 돌아갔다. 이탈리아 로마는 17표를 얻었다. 1차 투표에서 리야드가 3분의 2(110표) 이상을 득표하면서 결선 투표 없이 2030엑스포 개최지로 확정됐다.
윤석열 대통령과 박형준 부산시장을 필두로 지난 2년여간 정재계와 부산시, 민간이 혼연일체가 돼 가용 네트워크와 자원을 총동원, BIE 회원국을 상대로 ‘총력 외교’를 벌였지만, 사우디의 막판 물량공세를 넘어서지는 못했다. 그럼에도 정부의 빗나간 판세 분석과 전략 실패에 따른 책임을 누가 져야할지 가려야 하고, 그 과정에서 국론 분열도 우려된다.
무엇보다 정부 차원에서 이런 안타까운 결과에 놀라고 낙담할 국민과 부산 시민을 위로할 대책 수립도 필요해 보인다. 이날 새벽까지 2030엑스포 유치를 위해 부산시민회관에서 응원을 펼친 한 시민은 “부산이 엑스포 유치로 하나가 돼 뛰었는데 이런 결과가 나와 너무 슬프고 안타깝다”며 “인구도 활기도 점차 떨어져가는 부산을 다시 한 번 뛰게하려면 어떻게 해야할지 막막하다”고 전했다.
정부와 부산시가 걸어온 도전의 역사는 단순히 실패로 결론 내려서는 안 된다는 평가도 나온다. 이번 2030엑스포 유치전은 국제 무대에서 돈과 인맥의 힘이 어느 만큼 통용되는지를 분명히 확인할 수 있는 가장 극명한 사례로 기억될 것으로 보인다. 대한민국으로서는 차후 국제 대회나 엑스포에 도전할 경우에 대비한 지혜를 쌓는 계기로 삼을 필요가 있다. 한국대표단을 이끌고 막바지 유치전을 이끈 한덕수 국무총리는 “국민 기대에 미치지 못해 송구하며 무거운 책임감을 느낀다”면서 “182개국을 다니며 얻은 외교 자산을 더욱 발전시키겠다”고 말했다.
부산시는 2030엑스포를 개최해 동북아 중심도시로 ‘콴툼 점프(압축성장)’하겠다는 간절한 꿈을 이어갈 새로운 방향 설정에 나서야 한다. 무엇보다 “부산에 월드엑스포를 유치하자”는 제안이 처음 나온 뒤 10년 가까이 보여준 부산 시민의 열정과 노력은 미래 부산을 위한 보이지 않는 자산이다.
특히 부산만의 2030엑스포 유치 노하우와 역량을 이대로 사장시켜서는 안 되며 2035엑스포 유치 등 다음 도전에 대한 고려도 신중히 검토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박형준 부산시장은 투표 결과가 나온 직후 “인류의 더 나은 미래를 위한 부산의 도전은 계속될 것”이라며 “우리의 땀과 눈물과 노력과 열정을 기억하고 도전하는 한 우리는 반드시 해낼 것”이라고 했다.
정부와 부산시는 그동안 2030엑스포 개최를 상정하고 추진해 온 2029년 가덕신공항 조기 개항과 부산형 차세대 급행철도(BuTX) 개통, 부울경 광역교통망 확충 등 부산 현안 사업을 차질 없이 진행하기 위한 방안도 찾아야할 것으로 전망된다. 박 시장은 “엑스포 유치를 국가사업으로 정해놓고도 사우디보다 1년이나 늦게 본격적인 유치전에 나섰다는 점이 뼈아프고 초반 열세를 극복하는 데 어려움이 컸다”며 “부산을 ‘글로벌 허브 도시’로 만들고, 대한민국의 새로운 성장축으로 만들어 남부권 전체를 발전시키는 견인차가 되도록 하겠다는 부산 목표를 앞으로도 추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파리=박태우 기자 wideneye@busan.com
박태우 기자 wideneye@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