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사 잇단 부도… 대신 빚 갚아주는 보증대급금 급증

입력 : 2024-07-02 18:16:26
페이스북 페이스북 카카오 프린트

전국 18곳·부산 5곳 부도
보증금 전년 대비 43% 증가
하반기 건설경기 부진 전망
PF 불확실성 해소 등 필요

지역 건설사들의 잇단 부도에 공제조합이 건설사 대신 발주처나 하도급 업체에 갚아주는 보증대급금이 급증하고 있다. 부산진구 서면 일대의 오피스텔과 빌라 전경. 김종진 기자 kjj1761@ 지역 건설사들의 잇단 부도에 공제조합이 건설사 대신 발주처나 하도급 업체에 갚아주는 보증대급금이 급증하고 있다. 부산진구 서면 일대의 오피스텔과 빌라 전경. 김종진 기자 kjj1761@

지역 건설사의 부도가 잇따르면서 공제조합이 건설사 대신 발주처나 하도급 업체에 갚아주는 보증대급금이 급증하고 있다. 부동산 PF(프로젝트파이낸싱) 여파와 민간 발주 물량 감소로 하반기에는 지역 건설사를 위주로 부도 우려가 커질 것이라는 분석이다.

2일 건설공제조합에 따르면 올해 1~5월 조합이 지급한 보증대급금 규모는 981억 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43.3% 증가했다. 보증대급금은 조합의 보증상품에 가입한 건설사가 자금난에 빠져 사업을 중단하거나 하도급 업체에 공사비를 주지 못하는 경우 조합이 건설사 대신 갚아주는 돈이다.

수주한 공사를 제대로 시공하지 못할 경우 발주처의 요청에 따라 시공책임을 대신 이행하거나 손해금을 지급하는 시공 보증이 대표적이다. 하도급 업체에 공사비를 지급하지 못할 경우 이를 대신 지급하는 하도급대금 지급보증을 포함해 보증 상품 종류는 다양하다.

지난해 보증대급금 지급 규모는 1831억 원으로 전년의 3배 수준으로 급증한 데 이어 올해 들어서도 증가세가 이어지고 있다. 건설공제조합은 지난해 보증대급금 지급이 늘면서 11년 만에 영업손실을 기록했다.

전문건설사를 회원사로 둔 전문건설공제조합도 사정은 다르지 않다. 전문건설공제조합에 따르면 조합 보증 상품에 가입한 건설사들이 올해 1~5월 청구한 보증금 액수는 1085억 원으로 작년 같은 기간에 비해 18.3%, 2022년에 비해서는 68.3% 각각 늘었다. 조합 관계자는 “자금난에 빠진 전문건설사가 하도급 업체에 공사비를 지급하지 못할 경우 보증금을 청구하게 된다”며 “부도 처리되거나 법정관리에 들어가는 건설사가 늘면서 보증금 청구액도 늘고 있다”고 설명했다.

건설산업지식정보시스템에 따르면 올해 들어 6월까지 부도 처리된 건설업체는 총 18곳(종합건설업체 6곳, 전문건설업체 12곳)으로 작년 같은 기간(9곳)의 배로 늘었다. 2019년(29곳) 이후 가장 많은 수치다.

특히 지역 건설사의 부도가 눈에 띈다. 부도 처리된 업체 가운데 서울 1곳과 경기 2곳을 제외한 15개 사는 모두 지역 업체다. 특히 부산의 경우 종합건설업체 3곳, 전문건설업체 2곳 등 5개 건설사가 부도 처리됐다.

지난달 25일 시공능력평가액 409억 원 규모의 부산지역 종합건설업체가 부도를 맞았고, 5월에는 시평액 기준 부산에서 20위권에 들던 종합건설업체 2곳이 잇달아 부도 처리되기도 했다.

더 큰 문제는 올 하반기에도 건설시장 부진이 이어질 거란 전망이 나온다는 데 있다. 대한건설정책연구원은 이날 ‘지표로 보는 건설시장과 이슈’ 보고서를 통해 선행지표 부진과 부동산 PF 불확실성 등으로 건설경기 부진이 3분기에도 이어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지난 4월 건설수주는 작년 동기 대비 41.9% 늘었지만 이는 작년 시장이 크게 부진한 데 따른 기저효과 영향이 크다는 분석이다. 게다가 올 상반기 역대급 재정이 조기 집행되면서 오히려 하반기에는 공공물량 감소가 우려된다고 내다봤다.

특히 하도급 공사 부진이 심각한 수준에 다다를 수 있다. 원도급 공사는 정부 재정 조기 집행에 따라 계약액이 증가했지만, 하도급 공사는 민간 부문을 중심으로 발주 물량이 크게 감소해 부진이 이어지기 때문이다. 2분기 전문건설업 계약액 역시 감소세를 나타냈다. 업황 개선을 기대할 만한 긍정적 요인도 찾기 어렵다.

대한건설정책연구원 박선구 경제금융실장은 “2018년 건설경기 고점 이후 6년째 건설경기 하강 국면이 이어지고 있다”며 “건설경기 회복세를 위해 부동산 PF 불확실성 해소, 공사비 안정 등 여건 개선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안준영 기자 jyoung@busan.com

당신을 위한 뉴스레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