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나토미라이21도, 클라크 키도 하루 아침에 세워지지 않았다 [글로벌 DNA 깨우자]

입력 : 2024-09-10 18:24:45
페이스북 페이스북 카카오 프린트

중장기 계획 관철 꾸준함이 미덕
북항 청사진 로드맵부터 만들어야

일본 미나토미라이21의 아카렌가(붉은 벽돌로 된 창고) 거리. 부산일보DB 일본 미나토미라이21의 아카렌가(붉은 벽돌로 된 창고) 거리. 부산일보DB

항만 재개발의 선진 사례로 꼽히는 일본 요코하마 미나토미라이21은 1980년대 사업 착공 때부터 30~40년 단위 개발계획을 세웠다. 일본 경제 불황기, 정권 교체 등으로 어려운 국면에 처하기도 했으나, 당초 계획을 끝까지 관철해 지금의 모습을 만들어 냈다. 닛산자동차, 소니, 야마하 등 대기업 유치를 위한 보조금 정책, 도쿄와의 접근성 강조한 홍보 등 전방위 전략을 세운 점도 효과를 톡톡히 봤다. 초장기 플랜을 기반으로 요코하마항이 가진 역사성과 공공성도 성공적으로 담아냈다.

싱가포르도 클라크 키 등 수변 지역을 재개발하며 장기, 중기, 단기에 이르는 단계적 개발 방식을 채택했다. 40~50년 이후 준공을 목표로 10년마다 장기 계획인 ‘콘셉트 플랜’을 가동한다. 또 콘셉트 플랜의 중간 단계로 5년마다 계획을 수정·보완하는 중기 계획 ‘마스터플랜’을 세운다. 물론 싱가포르가 중앙집권적 정치 특성을 가졌기에 현실 가능한 전략일 수 있다. 그러나 반대로 국가 주도로 빠르게 사업을 진행할 수 있음에도 체계적이고 유연한 개발 방식을 고수하는 점이 눈에 띈다. 국립부경대 HK+사업단 김성민 교수는 “싱가포르는 토지, 환경, 건축, 인구, 산업 등 각 영역의 전문성을 기반으로 중장기 계획을 이행한다”면서 “개발에 참여하는 민간 전문가만 1000여 명에 달하며, 이들은 공공성과 사업성의 균형 등을 고려해 장기 플랜을 세운다”고 말했다.

부산항 북항 재개발 3단계 사업은 계획상 2040년 준공 목표다. 1·2단계를 뛰어넘는 초대형 사업이지만, 타 항만 재개발 사례와 비교할 때 제대로 된 전략을 짤 시간이 부족하다. 눈에 보이는 1·2단계 사업에만 몰두하다 3단계 사업도 ‘개문발차’할 수 있다는 얘기다.

전문가들은 탄탄한 청사진을 마련하기 위해 공간 기획, 콘텐츠 등 여러 분야를 아우르는 ‘라운드테이블’이 서둘러 마련돼야 한다고 말한다. 1·2단계와의 콘텐츠 차별화, 배후 부지 연계성 등을 지금부터 고민해야 한다는 것이다.

국립부경대 HK+사업단 공미희 교수는 “단기 성과에 급급하기보다 지속 가능한 도시 개발을 목표로 장기적인 로드맵을 지금부터 마련해야 한다”면서 “공공과 민간 부문의 협력을 강화해 사업 추진의 안정성을 확보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승훈 기자 lee88@busan.com

당신을 위한 뉴스레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