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캐나다, 멕시코, 중국 대상 관세 부과를 강행하고 해당 국가들이 보복 관세 조치에 돌입하면서 멕시코·캐나다 등에 진출한 한국 기업들에 비상이 걸렸다.
트럼프 대통령은 오는 4일(현지시간) 캐나다와 멕시코에 각각 25%, 중국에 추가로 10%의 보편적 관세를 각각 부과키로 최종 결정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1일(현지시간) 자신의 소셜미디어를 통해 국제비상경제권법(IEEPA)에 따라 캐나다, 멕시코, 중국에 대한 관세를 부과 조치를 내렸다고 발표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불법 이민자와 마약의 미국 유입을 재차 거론한 뒤 “우리는 미국 국민을 보호해야 하며 모두의 안전을 확실하게 하는 것이 대통령의 의무”라고 관세 부과 이유를 설명했다.
이에 캐나다와 멕시코는 즉각 대미 보복 관세 조치를 발표했다. 트뤼도 캐나다 총리는 트럼프 대통령의 조치 발표 이후 즉각 긴급 기자회견을 열고 1550억 캐나다 달러(약 155조 6000억 원) 상당의 미국산 제품에 25%의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고 밝혔다. 트뤼도 총리는 “술, 과일, 채소, 의류, 신발과 같은 일상용품을 포함하는 등 관세 범위는 광범위할 것”이라고 밝혔다.
클라우디아 셰인바움 멕시코 대통령 역시 같은 날 미국산 제품에 보복 관세를 부과할 것을 지시했다고 밝혔다. 셰인바움 대통령은 이날 미국의 관세 부과 발표 후 X(옛 트위터)를 통해 “경제부 장관에게 멕시코의 이익을 보호하기 위한 관세 및 비관세 조치를 포함, 플랜B를 시행할 것을 지시했다”고 발표했다.
중국은 WTO 제소 의지를 천명했다. 중국 상무부 대변인은 2일 홈페이지를 통해 담화문을 발표하고 “미국의 일방적 추가 관세 조치는 세계무역기구(WTO) 규칙을 심각하게 위반한 것”이라며 “미국의 잘못된 처사에 대해 중국은 WTO에 제소할 것이고, 상응한 반격 조치를 취해 권익을 굳게 수호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에 멕시코 등에 진출한 한국 기업들의 발등에 불이 떨어졌다.
삼성전자는 멕시코 케레타로와 티후아나에서 가전 공장과 TV 공장을 각각 운영 중이다. LG전자도 레이노사(TV), 몬테레이(냉장고), 라모스(전장) 등에 생산 기지를 운영한다. LG 전자는 고율 관세가 부과된 제품은 여러 생산지에서 생산하는 방법으로 대응하고, 유통업체와도 협력해 리스크를 최소화할 방침이다. 몬테레이에 기아 공장을 둔 현대차그룹도 공급망 조정으로 피해를 최소화하겠다는 방침을 세웠다.
캐나다에 진출한 LG에너지솔루션, 포스코퓨처엠, 에코프로비엠 같은 전기차·배터리 기업에도 큰 타격이 예상된다.
대기업과 함께 이들 지역으로 동반 진출했거나 멕시코 등 현지 생산량을 늘리기 위해 공장을 신설한 지역 기업들 역시 노심초사하기는 마찬가지다. 한 업계 관계자는 “우려가 현실이 됐지만 정부 정책이나 대기업의 행보를 지켜볼 수밖에 없다”며 “미국 현지 생산을 늘리는 등 타격을 최소화하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미국 철강노조와 미국 석유화학업계 단체 등 미국 내 노조, 업계는 미국 기업과 소비자들에게도 타격을 줄 수 있다며 관세 부과 철회를 촉구했다.
윤여진 기자 onlypen@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