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미국 무역적자 해소를 위해 부과하기로 한 국가별 상호 관세가 9일 0시 1분(현지 시간·한국 시간 9일 오후 1시 1분) 발효돼 시행에 들어갔다.
한국을 비롯해 중국과 일본, 유럽연합(EU) 등 미국의 무역 상대국을 대상으로 미국의 ‘관세전쟁’이 현실화하면서 세계 경제의 혼란과 위기감이 더욱 고조되고 있다. 여러 국가가 동시다발적으로 관세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미국과 협상을 시도하는 가운데 트럼프 대통령은 동맹이자 미국과의 교역에서 큰 흑자를 내는 한국과 일본에 우선 초점을 맞추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8일(현지 시간)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 후 처음으로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과 28분간 전화 통화를 하고 관세 문제 등을 논의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소셜미디어(SNS)에 올린 글에서 “거대하고 지속불가능한 한국의 대미 무역흑자, 관세, 조선, 미국산 액화천연가스(LNG) 대량 구매, 알래스카 가스관 합작 사업 등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특히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이 한국에 제공하는 군사적 보호에 대한 비용 지불도 논의했다고 밝혀 지난해 말 타결된 방위비분담특별협정 재협상을 요구할 것을 시사했다.
총리실은 양측이 상호 ‘윈윈’하는 방안을 찾을 수 있도록 무역 균형을 포함한 경제 분야에서 건설적인 장관급 협의를 계속해 나가자고 밝혔다. 당장 정인교 통상교섭본부장이 제이미슨 그리어 미국무역대표부(USTR) 대표와 협의하기 위해 이날 미국에 도착했다.
김덕준 기자 casiopea@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