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기 휴무일없이 쉬지 않고 일해야 하는 프랜차이즈 가맹점이 17만 개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장인들은 5월 황금연휴를 기대하는 등 ‘빨간날’에는 정기적으로 쉬지만 자영업자들은 장사를 하기 위해 쉴 틈이 없는 것이다.
23일 통계청과 프랜차이즈(가맹점) 조사 결과에 따르면 2023년 기준 15개 주요 업종 가맹점 가운데 정기휴무일이 없는 곳은 16만 9364개에 달했다. 이는 전체 가맹점(27만 86개)의 62.7%에 달하는 비율이다.
정기휴무일은 가맹점이 정기적으로 쉬는 날을 뜻한다.
정기휴무일이 없는 가맹점은 편의점이 가장 비율이 높았다. 편의점은 전체 5만 4828개 중 거의 대부분인 5만 4392개(99.2%)가 정기휴무일 없이 운영됐다. 업종의 특성상 대부분 24시간 운영돼야 하기 때문이다.
커피·비알코올음료점업도 3만 2241개 가맹점 중 2만 6234개(81.4%)가 정기휴무일이 없었고, 제과점업도 78.3%로 높았다.
피자·햄버거·샌드위치 및 유사 음식점업(59.5%)이나 생맥주·기타주점업(56.8%)에서도 정기휴무일이 없는 가맹점이 절반 이상에 달했다.
반면 자동차 전문 수리업(2.8%)이나 의약품·의료용품 소매업(12.1%)은 비교적 많은 곳이 정기휴무일이 있었다.
이와 함께 전체 가맹점 가운데 일일 평균 영업시간이 14시간 이상인 곳이 7만 2972개(27.0%)였다.
특히 편의점은 14시간 이상 영업 비율이 99.7%로 집계됐다.
이어 제과점업(34.3%), 가정용 세탁업(24.3%), 커피·기타 비알코올 음료점업(19.1%), 문구·회화용품 소매업(18.8%) 등도 하루 영업시간이 14시간 이상인 곳이 꽤 됐다.
우리나라는 취업자 5명 중 1명이 자영업자일 정도로 자영업 의존도가 높다. 치열한 경쟁 속에 휴식 없이 운영하는 것이 일반화했다는 분석이 나온다.
그러나 이같은 장시간 영업에도 불구하고 내수 부진과 소비 심리 위축 등으로 여전히 어려움을 겪고 있다.
한국은행이 지난달 발표한 보고서에 자영업자 평균 소득은 2022년 연간 4131만 원에서 지난해 4157만 원으로 소폭 증가했지만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 말 수준(4242만 원)을 회복하지는 못 했다.
김덕준 기자 casiopea@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