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은 이전부터 광역철도망까지… 국힘 부울경 대선 공약 발표

입력 : 2025-05-15 18:25:31
페이스북 페이스북 카카오 프린트

부산 글로벌허브 특별법 제정
경남 우주항공 클러스터 구축
울산 초격차 기술산업 육성도

국민의힘 김문수 대선후보가 공식 선거운동 둘째 날인 13일 부산을 찾았다. 자갈치시장을 방문한 김 후보가 유세전을 펼치고 있다. 김종진 기자 kjj1761@ 국민의힘 김문수 대선후보가 공식 선거운동 둘째 날인 13일 부산을 찾았다. 자갈치시장을 방문한 김 후보가 유세전을 펼치고 있다. 김종진 기자 kjj1761@

국민의힘이 영남권 지역 공약을 발표하고 부산을 ‘글로벌 허브 도시’로 육성하겠다는 구상을 전면에 내세웠다. 산업은행 본사 이전, ‘부산글로벌허브도시조성특별법’ 제정, 부울경 광역철도망 구축이 핵심 축이다.


국민의힘은 15일 권역별 시도 공약을 순차적으로 발표하겠다고 밝히며, 첫 번째로 영남 지역 공약을 공개했다.

먼저 부산에 대해서는 규제를 대폭 해제한 ‘특화도시’로 조성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무세금·무규제·무비자·무언어장벽 등 ‘4무(無)’ 기반의 제도 인프라를 도입해 외국인 기업과 투자를 유치하고,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도시 환경을 조성한다는 계획이다. 이를 위한 입법 조치로 ‘부산글로벌허브도시조성특별법’ 제정을 제시했고, 부산·경남 행정통합 구상도 거론됐다.

윤석열 정부 당시 추진됐던 산업은행 본사의 부산 이전도 공약에 다시 포함됐다. 국민의힘은 여의도 중심의 금융 구조를 지방으로 분산하고, 블록체인·핀테크 중심의 금융 산업을 집중 육성해 부산을 남부권 금융 중심지로 만들겠다는 전략이다.

도심재생과 균형발전도 핵심 과제로 제시됐다. 북항 재개발 1~3단계 사업을 신속히 추진하고, 트램 형태의 부산항선 신설을 통해 원도심 접근성과 도시 내 관광 인프라를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물류 인프라 확충도 중점 공약 중 하나다. 가덕신공항을 조속히 건설하고, 부산신항과 연계한 공항·항만·철도를 아우르는 트라이포트 체계를 구축한다. 부울경 광역철도와 기장 정관선 신설 등 교통망 확충도 병행한다.

에너지 분야에선 ‘부산형 분산에너지 특화지역’을 조성하고, 지역 전력 자립률을 반영한 요금 체계 개편을 검토한다. 에코델타시티와 강서산단을 신재생에너지 중심지로 전환하고, 에너지 다소비 기업을 부산 내에 유치해 분산을 유도한다. 문화·콘텐츠 산업 육성도 주요 공약에 포함됐다. 부산 전역을 영상산업 거점으로 연결하고, 국립영상박물관 건립과 ‘게임 콤플렉스’ 유치를 추진한다.

경남과 울산은 각각 ‘우주항공 산업 중심지’와 ‘미래 기술 수도’로의 전환을 목표로 하는 공약이 제시됐다. 경남은 사천 우주항공청을 중심으로 세계적인 수준의 연구개발 단지와 혁신 클러스터를 구축한다. 또 SMR(소형모듈원자로) 제조 지원, 방위산업 클러스터 조성, 디지털 제조혁신밸리 구축 등을 통해 첨단 제조업 기반을 강화한다. 울산은 AI 기반 미래 모빌리티, 양자기술, 수소 클러스터, 수중 데이터센터 등 초격차 기술 산업을 집중 육성하고, 생태문화관광도시로의 전환도 함께 추진한다. 2028 국제정원박람회 지원 특별법 등이 포함됐다.

한편 이날 국민의힘 김문수 대선후보는 각 시도 교육감의 주민직선제를 폐지하고 ‘시도지사 러닝메이트제’ 또는 ‘광역단체장 임명제’로 변경하는 내용을 담은 교육 현장 대선 공약도 함께 발표했다.

탁경륜 기자 takk@busan.com

당신을 위한 뉴스레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