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년의날 맞아 ‘청년 표심’ 잡아라… 대선후보, 금융 지원·일자리 확대 초점

입력 : 2025-05-19 10:32:03 수정 : 2025-05-19 11:03:37
페이스북 페이스북 카카오 프린트

이재명 ‘기회와 복지의 확대’… 청년미래적금·현물 ETF 도입
김문수 ‘청년이 크는 나라, 미래가 열리는 대한민국’… 일자리, 주택 확대
이준석, ‘든든출발자금’, 신·구 연금 분리


18일 서울 도봉구 도봉119안전센터 인근 도봉산 등산로 초입에서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선후보 선거운동원(왼쪽 사진)과 국민의힘 김문수 대선후보 선거운동원(오른쪽 사진)들이 등산객들을 향해 거리 유세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18일 서울 도봉구 도봉119안전센터 인근 도봉산 등산로 초입에서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선후보 선거운동원(왼쪽 사진)과 국민의힘 김문수 대선후보 선거운동원(오른쪽 사진)들이 등산객들을 향해 거리 유세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성년의날’인 19일 각 당 대선후보가 내놓은 청년 공약은 일자리 확대와 주거 안정에 방점이 찍혀 있다. 이행 방안으로는 ‘금융 지원’, ‘주택 공급’ 등을 앞세웠다.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의 청년 공약 기조는 ‘기회와 복지의 확대’다.

이 후보는 청년층 자산 형성에 집중했다. ‘청년미래적금’을 도입해 자산 형성을 지원하고, 취업 후 상환 가능한 학자금 대출의 소득 요건을 완화한다는 계획이다.

청년층이 많이 투자하는 가상자산과 관련해서는 거래 수수료 인하를 유도하고, 현물 ETF(상장지수펀드)를 도입하면서 통합감시시스템을 구축해 안전한 투자 환경을 조성하겠다고 공약했다.

주거난 해결을 위해서는 청년 맞춤형 공공 분양 및 월세 지원을 확대해 주거 지원을 강화할 방침이다. 직장과 주거 시설이 근접한 ‘주거복합플랫폼주택 조성’도 검토 중이다.

교육 분야에서는 대학생의 등록금 부담을 완화하고, 상생형 공공기숙사를 대폭 공급할 예정이다.

국민의힘 김문수 후보는 ‘청년이 크는 나라, 미래가 열리는 대한민국’이라는 슬로건 아래 청년 일자리와 주택 확대에 방점을 찍었다. 청년층의 주거난을 해결하면서 출산율 상승을 도모한다는 목적이다.

김 후보는 우선 공채로 신입사원을 뽑는 기업을 대상으로 법인세 감면 및 정부 사업 입찰 시 가점 등의 혜택을 준다는 구상이다.

또 신입 공채 전문가 육성 프로그램에 대한 인력개발 세액공제 범위를 확대하고, 현재 강의료·교재비 등에 국한된 공제 대상을 시설비 등으로 늘리기로 했다.

청년층 종사자가 많은 인공지능(AI) 관련 공약도 나왔다. 김 후보는 전국에 AI 청년 스타트업 빌리지 조성 등 AI 유니콘 기업을 지원하고, AI 청년 인재 20만 명을 양성한다는 계획이다.

김 후보는 주거 공약으로 ‘3·3·3 청년주택 공급 방안’을 발표했다. 이는 결혼 3년, 첫 아이 및 둘째 아이 각 3년 등 최대 9년간 주거비를 지원해 청년주택을 매년 10만 호씩 공급하는 것이 골자이다.

여기에 청년·신혼·육아 부부를 위한 주택 매년 20만 호 공급, 대학가 반값 월세존 도입, 1인 가구 전용 아파트 및 오피스텔 공급 확대 등도 공약에 포함됐다.

눈에 띄는 것은 이 후보와 김 후보 모두 20대 남성 공략에 공들였다는 점이다. 이 후보는 ‘군복무 경력 호봉 반영’, 김 후보는 ‘군 가산점제 부활’을 들고 나왔다. 이 후보는 지지세가 가장 약한 표심을 향한 구애 작전, 김 후보는 지지층의 결집을 도모하기 위한 조처라는 평가다.

개혁신당 이준석 후보는 고졸 이하 청년을 대상으로 하는 ‘든든출발자금’을 약속했다. 든든출발자금은 연 1.7% 저리로 분기당 500만 원씩 10회에 걸쳐 총 5000만 원을 빌려주는 제도다.

상환 방식은 ‘5년 거치·10년 상환’ 또는 ‘취업 후 상환’ 중 하나를 택하면 된다. 도중에 대학에 진학하면 대출 잔액 범위 내에서 학자금 대출로 전환할 수 있다.

이 후보는 연금개혁과 관련해선 신·구 연금 분리 방안으로 청년층 표심을 겨냥했다.

구체적으로는 취임 후 2년 내 국민연금을 신·구 2개 계정으로 나누고, 기존 연금 가입자는 ‘구연금’에 미래 세대는 ‘신연금’에 가입시키는 방식이다. 지난해 한국개발연구원(KDI)이 제시한 개혁안과 유사한 맥락이다.

이렇게 되면 미래 세대는 기성 세대 연금 지급을 위한 부담을 질 필요가 없고, ‘낸 만큼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세대 간 갈등을 피할 수 있다는 게 이 후보의 설명이다.

주요 지지층인 ‘이대남’을 겨냥해 여성가족부를 폐지하고 관련 업무를 보건복지부와 행정안전부로 이관하는 공약도 제시했다.


변은샘 기자 iamsam@busan.com

부산온나배너
영상제

당신을 위한 뉴스레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