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광역시와 울산광역시가 ‘제1호 분산에너지 특화지역’ 최종 후보지로 선정됐다. 전기가 만들어지는 곳에서 전기를 쓰는 '지산지소(地産地消)형 전력 시스템' 구축이 촉진되는 등 분산에너지 테스트베드 구축이 본격화할 전망이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1일 오후 서울 서초구 aT센터에서 분산에너지특화지역(분산특구) 실무위원회를 열고 11개 지자체가 신청한 분산특구 중 7개를 최종 후보지로 선정했다고 밝혔다. 선정된 7곳은 부산광역시, 울산광역시, 제주도, 경기도, 경상북도, 충청남도, 전라남도다.
산업부는 6월 중 이들 7개 지역을 대상으로 에너지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최종 특구를 선정할 예정이다. 심의 과정에서 특별한 변수가 나오는 등 이변이 없는한 7곳 모두 최종 특구로 선정될 것으로 보인다.
부산시는 전국 1위의 전력자립 지역으로 에코델타시티에 대규모 데이터센터가 들어설 예정이다. 울산시는 분산특구에 글로벌 AI 데이터센터를 유치하여 데이터센터 비수도권 이전에도 기여할 전망이다.
분산특구는 지난해 6월 시행된 분산에너지법에 따라 장거리 송전망에 기반한 중앙집중형 전력 체계에서 비롯되는 문제점을 보완하고 수요지 인근에서 전력을 생산해 소비가 가능한 지산지소형 분산에너지 시스템 구축을 위해 시행되는 제도다.
특구로 지정되면 규제 특례가 적용돼 막혔던 에너지 신사업들이 허용되고, 지역 내 전력 생산·소비를 촉진해 전력 여유 지역으로 수요를 이전하도록 저렴한 전기요금이 적용되며, 전력 직접거래가 허용돼 지역 발전사들의 판매 경쟁을 제고하는 효과가 있다.
산업부는 이번에 선정된 후보지가 최종 선정된다면 다양한 에너지 신사업들이 활성화되고 계통 안정화를 도모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했다.
구체적으로 데이터센터의 비수도권 이전과 글로벌 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 유치, 위기에 놓인 석유화학업계(울산 미포산단·충남 대산산단)에 지역 발전사를 통한 경쟁력 있는 전기요금 혜택, 재생에너지·암모니아 기반 발전소 등 무탄소 전력을 이용한 수출 기업의 경쟁력 확보 등이 가능할 전망이다.
이호현 산업부 에너지정책실장은 "지역의 에너지 수급 문제를 지자체, 지역 발전사, 산업단지 기업체, 시민들이 함께 풀어가는 다양한 모델들이 발굴된 것이 큰 성과"라며 "분산특구가 에너지 문제 해결뿐 아니라 지역경제 활성화에도 기여하도록 추가 대책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송현수 기자 songh@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