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꽁꽁 묶인’ 회동수원지 상수원보호 해제 청신호

입력 : 2025-05-22 19:32:00
페이스북 페이스북 카카오 프린트

상수도본부 18개월간 용역 결과
마을 오폐수 유발 오염 18%뿐
인근 주민 60년 숙원 해소 기대

부산 금정구와 기장군, 양산시에 걸쳐 있는 회동상수원 일대 환경정비구역(마을)의 보호구역 해제에 청신호가 켜졌다. 부산 금정구 회동수원지와 상현마을 일대 모습. 정종회 기자 jjh@ 부산 금정구와 기장군, 양산시에 걸쳐 있는 회동상수원 일대 환경정비구역(마을)의 보호구역 해제에 청신호가 켜졌다. 부산 금정구 회동수원지와 상현마을 일대 모습. 정종회 기자 jjh@

부산 회동수원지 일대 마을에서 유발하는 수질오염이 전체 오염의 일부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마을 주민들이 염원해 온 상수원보호구역 해제에 긍정적인 신호로 풀이된다. 부산시는 우선 각 마을이 수질 오염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할 계획이다.

부산시 상수도사업본부는 2023년 9월부터 지난 3월까지 수행한 ‘회동상수원보호구역 관리 대책 수립 용역’ 결과, 회동상수원 전체 수질 오염 중 점오염의 비율은 18%로 조사됐다고 22일 밝혔다. 점오염은 하수 발생·폐수 배출 시설 등에서 관로를 통해 배출된 수질 오염 물질이다. 이는 수질 오염에 일대 마을의 영향이 크지 않다는 것을 의미한다. 점오염보다 인근 산지와 도로에서 유입되거나 기상 상황에 따라 나타나는 비점오염의 비율이 더 높았다. 용역은 상수원 수질 보전과 개선 대책을 마련하는 한편 보호구역 지정 범위 재검토를 위해 추진됐는데, 인근 마을이 수질 오염에 주 원인이 아니라는 점이 확인됐다.

부산 금정구와 기장군, 경남 양산시 일대에 걸친 회동상수원보호구역 88.256㎢에는 환경정비구역으로 지정된 마을이 총 30곳(금정 12곳·기장 18곳) 있다. 마을 전체 면적은 약 3㎢(약 90만 평)이다. 환경정비구역은 상수원보호구역 지정 전부터 존재하던 마을에 오폐수 관로 정비를 거쳐 지정하는 구역이다. 상수원보호구역 해제 시 수도법에 따라 규제 받았던 용도 변경, 건축물 개·보수 제한 등으로부터 자유로워질 전망이다.

1964년 회동수원지가 상수원보호구역으로 지정된 뒤 주변 주민들은 재산권 침해 등을 호소해 왔다. 2005년 시가 기장추모공원을 조성하며 상수원보호구역 해제를 약속하기도 했는데, 2015년 양산시 동면 5개 마을과 지난 3월 기장군 정관읍 3개 마을만 해제된 상태다.

본부는 이르면 올 하반기 각 환경정비구역 등이 회동상수원 오염에 미치는 영향을 상세히 조사하는 용역에 돌입할 계획이다. 시는 이 용역 결과를 상수원보호구역 해제를 추진할 때, 해제 권한을 쥔 환경부에 근거자료로 제출할 계획이다.

손혜림 기자 hyerimsn@busan.com

부산온나배너
영상제

당신을 위한 뉴스레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