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민석 국무총리 후보자 인사청문회가 오늘부터 이틀간 열린다. 이에 앞서 23일 이재명 정부는 11개 부처 장관 인선을 발표했다. 장관 인선은 깜짝 발탁이 눈에 띈다는 평가다. 실용주의, 전문성, 탕평의 철학을 살리려 노력한 점은 보인다. 다만, 김민석 총리 후보자 청문회는 안갯속이다. 제기된 의혹을 청문회에서 소명하겠다고 약속했으니 명명백백히 밝혀야 한다. 총리 후보자의 국회 동의와 장관 지명자 인사청문회를 끝내야 새 정부는 국정 운영의 첫걸음을 내딛을 수 있다. 그 전에 꼭 거쳐야 하는 게 검증의 시간이다. 엄정한 국회 청문회를 통과할 때 국정 동력을 얻을 수 있다는 점을 명심해야 한다.
대통령실은 23일 11개 부처 장관 인선을 발표하며 “실용성과 효능감을 강조하는 대통령의 철학에 따라 성과를 내는 행정부를 만들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나라당(현 국민의힘) 국회의원을 지낸 권오을 국가보훈부 장관 지명자나 전임 정부에서 임명된 송미령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의 유임은 다소 의외다. 부산 이전을 약속한 해양수산부 장관에 부산 유일의 민주당 현역 전재수 국회의원을 선택한 것도 지역 공약을 지키려는 다짐으로 읽힌다. 국방장관 지명자 안규백 의원이 임명되면 1961년 5·16 군사정변 이래 최초의 민간인 출신이 된다. 고용노동부 장관에 김영훈 전 민주노총 위원장이 지명된 것도 처음 있는 일이다.
새 정부가 인수위 없이 출발했다고 검증을 어물쩍 넘길 수 있다고 생각하면 오산이다. 전문성과 탕평, 통합의 가치를 실현했다는 국무위원 인선이 실제 국정의 동력으로 되려면 청문회에서 적합성과 진정성을 입증해야 한다. 그 중심에 김민석 총리 후보자가 있다. 국민의힘은 금전 의혹, 아들 특혜 논란을 문제 삼으면서 자진 사퇴 또는 지명 철회까지 거론하고 있다. 5년 간의 세비 수입이 5억 원인데 13억 원을 지출한 경위, 11명에게 빌린 1억 4000만 원의 성격을 국민의 눈높이로 해명해야 한다. 김 후보자가 자료 제출을 거부하거나, 미흡한 해명으로 일관하면 결국 여야 갈등만 커진다. 새 정부의 협치 기조와 맞지 않는 일이다.
인사청문회는 단순한 절차가 아니라 국민적 검증과 신뢰 확보를 위한 최소한의 장치다. 과거 권위주의나 여야 극한 갈등 때는 국회 청문회 절차 무시가 되풀이됐고, 그 결과 국민적 불신과 정치적 갈등이 커졌다. 청문회에서 의혹이 충분히 해소되지 않았는데도 국회 다수석의 힘을 내세워 임명을 밀어붙이면 정치 문화가 과거로 퇴행하고 만다. 실용과 통합, 소통을 내세운 이재명 정부는 과거를 답습해선 안 된다. 원칙과 절차를 존중하는 새로운 인사 문화를 정착시키는 모범을 보여야 한다. 국정을 수행할 국무위원에 대한 투명한 검증은 국민 신뢰의 바탕이 되고, 국정 동력으로 이어진다는 점을 잊어서는 안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