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전하기 어려운 도시’ ‘난폭 운전자가 많은 도시’. 부산의 도로에 붙은 오명이다. 새치기 유턴, 꼬리물기 같은 기본적인 운전 규칙부터 안전띠 미착용, 음주운전, 이륜차 사고 위험은 부산 도로의 고질병으로 꼽힌다.
이제는 바꿔야 한다. 〈부산일보〉는 부산경찰청과 안전한 도로, 선진 교통 문화 도시 부산을 만들기 위해 5회에 걸쳐 교통 안전 필수 수칙을 담은 기획 기사를 연재한다.
22일 부산경찰청에 따르면 부산의 고령 운전자(만 65세 이상) 면허증 반납률은 3.23%로 전국 1위다. 전국 평균 면허증 반납률인 2.21%를 웃돈다. 지난해 기준 부산에서 면허를 소지한 고령 운전자 수는 33만 8134명인데, 그중 1만 950명이 면허증을 반납했다.
경찰이 고령운전자 면허증 반납을 장려하는 까닭은 고령운전자로 인한 사망 사고가 끊이지 않기 때문이다. 최근 5년간 부산 교통사고 사망자는 568명인데 그중 고령 운전자 교통 사고로 인한 사망자는 130명이다. 특히 지난해엔 전체 사망자 109명 중 25명이 고령 운전자로 인해 사망했고, 2023년에는 110명 중 27명이 고령 운전자 교통사고로 숨졌다. 부산 교통사고 사망자 4명 중 1명이 고령 운전자가 일으킨 교통 사고로 목숨을 잃었다.
고령 운전자는 노화로 시각 범위가 좁아지고 정보처리 기능이 떨어져 순간적인 상황에 대한 대처 능력이 떨어진다. 지난 12일 오후 8시 39분께 고령 운전자가 운행하는 승합차가 사하구 다대포 해변공원에서 횡단보도를 건너던 보행자를 치었다. 지난달 2일 오후 11시 24분께에는 고령 운전자가 몰던 승용차가 동구 범일동 앞 편도 3차로를 따라 달리던 중 도로 우측 건물 외벽을 들이받았다. 모두 고령 운전자가 도로 위 돌발 상황에 대처하지 못하거나 순간 판단이 흐려져 발생한 사고로 추정된다.
고령 보행자 역시 사고에 취약하다. 지난해 부산 전체 교통사고 사망자 수는 109명이었는데 이 중 고령자 수는 60명이다. 특히 오후 4시에서 오후 10시 사이에 고령 보행자 교통 사고가 가장 많이 발생했다.
경찰은 사고 예방을 위해 고령 운전자가 많은 지역을 중심으로 계도와 단속 활동을 강화하고 있다. 전통 시장 등 고령자가 주로 방문하는 지역에서 법규 위반 행위에 대한 현장 단속을 강화했다. 또 고령 보행자 교통사고 예방을 위해 손해보험협회와 협업해 교통 사고 예방 수칙 등의 내용을 담은 라디오 광고를 제작했다. 이 외에도 경찰은 안전 보행과 안전 운전에 대한 내용을 주제로 하는 고령자 교통 안전 영상을 제작해 공공 기관과 민간 기관에 송출하고 찾아가는 교통 교육도 실시한다.
부산경찰청 교통과 김운섭 교통안전계장은 “부산에서 제일 시급한 문제가 고령자 교통사고”라며 “부산시 자치경찰위원회 등 관계 기관과 협업해 사고 예방에 최선을 다할 계획이며, 부산 시민 전체의 깊은 관심과 노력도 절실하다”고 말했다.
※이 기사는 부산시자치경찰위원회와 부산경찰청, 부산일보가 공동으로 마련했습니다.
양보원 기자 bogiza@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