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대통령은 25일 부산을 찾아 “균형발전은 대한민국이 지속적인 성장 발전을 위해선 피할 수 없는 국가 생존 전략”이라며 “지방 정책들을 부산·울산·경남을 중심으로 시행해 보자는 생각이 있다”고 밝혔다. 이 대통령은 해양수산부를 포함한 국가 기관들의 부산 이전을 신속하게 추진하겠다며 ‘해양수도 부산’ 완성을 약속했다. 현대건설의 수의계약 포기로 일시 중단된 가덕신공항 사업에 대해선 “정부가 정상 진행하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내년 지방선거를 앞두고 이 대통령이 부산 민심을 잡기 위해 지역 발전 의지를 강하게 드러낸 것으로 보인다.
이 대통령은 이날 오후 2시 30분 부산 남구 부경대학교 컨벤션홀에서 열린 ‘부산의 마음을 듣다, 부산 타운홀미팅’에서 “일극체제 집중화 전략, 불균형 성장 전략은 한계에 다다랐다”며 지역균형발전의 중요성을 거듭 천명했다.
이 대통령은 “모든 게 수도권 일극으로 몰리다 보니 수도권은 미어터지고 과밀해서 죽을 지경이고, 지방은 없어서 죽을 지경이 됐다”며 “이전과는 다르게 국가의 자원 배분이나 정책 배분에서 균형발전 전략을 국가생존전략으로 격상시켜야 한다. 지방과 균형을 맞추는 수준이 아니라 지방에 인센티브를 주는, (지역을) 우대하는 방향으로 가야 균형을 맞출 수 있겠다는 판단을 했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이날 타운홀미팅에서 해양수도 부산 완성을 위한 발전 전략 중점적으로 제시했다. 이 대통령은 △해수부를 포함한 관련 공공기관 이전 △해사법원·동남권 투자은행 설립 △북극항로 개척 등 후보 시절 공약했던 정책들의 신속한 집행을 약속했다.
이 대통령은 “해수부를 포함한 관련 국가 기관들 부산 집중 이전도 가능한 범위에서 신속하게 집행 중”이라며 “공기업 산하 기관들, 출연 기업들도 최대한 신속하게 이전해 오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해사법원 문제나 동남권 투자은행 설립도 최대한 신속하게 해볼 생각”이라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기후 변화로 부산이 북극항로 개척에 따른 수혜를 입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 미리 준비하지 않으면 기회를 놓치게 돼 지금이라도 속도를 내서 항만 물류 중심 도시, 동북아 중심도시로 발전하는 방안을 논의해 보려고 한다”고 말했다.
해양수산부 전재수 장관도 “부산에 해사법원을 신설하고, HMM을 비롯한 경쟁력 있는 해운 대기업을 집적화시키겠다”고 이 대통령의 발언에 힘을 실었다.
김경수 지방시대위원장은 “해수부뿐만 아니라 관련 공공기관들이 함께 와야 부산이 해양수도로 기능할 수 있다”며 “공공기관 이전과 함께 부산대, 부경대 등 지역 대학을 조선·해운 분야에서 전국 최고 수준으로 키우고, 인재가 머물고 기업이 올 수 있도록 주거·교통 여건도 개선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현대건설의 일방적인 수의계약 포기로 일시 중단된 가덕신공항 건설 사업에 대한 언급도 나왔다. 이 대통령은 가덕신공항 사업에 대해 “정부에서 최선을 다해 정상 진행할 수 있게 하겠다”며 “문제는 지연될 가능성이 실제로 있다. 첫 번째는 사업이 좌초되지 않게 하는 것, 두 번째는 지연되지 않게 하는 것인데 정부에서 최선을 다해 정상 진행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했다.
이날 행사는 지난달 25일 광주, 지난 4일 대전에 이어 세 번째 타운홀미팅이다. 이 자리엔 박형준 부산시장과 전재수 해양수산부 장관, 김경수 지방시대위원장, 대통령실 SNS를 통해 모집한 부산시민 200여 명이 참석했다. 이 대통령이 이날 부산 발전에 대한 의지를 거듭 드러내는 건 내년 지방선거를 앞두고 승부처인 부산 민심 잡기에 본격적으로 나선 것이란 분석도 나온다.
나웅기 기자 wonggy@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