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9월 22일부터 지급되는 2차 민생회복 소비쿠폰은 건강보험료를 기준으로 국민의 90%에게 1인당 10만 원씩 지급한다.
정부는 2차 소비쿠폰 지급을 앞두고 상위 10%를 어떤 기준으로 제외할 것인지를 두고 본격적인 지급 기준 마련에 나선다.
행안부는 이르면 18일께부터 보건복지부, 국민건강보험공단과 고액 자산가 제외 기준, 1인 가구 및 맞벌이 가구에 대한 특례 적용 여부 등 2차 지급기준에 대해 중점적으로 논의해 다음 달 10일께까지 최종 기준을 마련할 방침이다.
이 과정에서 2021년 지급된 코로나19 상생 국민지원금 사례도 참고할 방침이다.
코로나19 상생 국민지원금은 기본적으로 가구소득 하위 80% 이하 가구를 대상으로 했지만, 1인 가구와 맞벌이 가구에 특례 기준이 적용돼 결과적으로 약 88%의 가구가 지원금을 받았다.
당시 1인 가구는 직장·지역가입자 여부와 관계없이 건강보험료가 17만 원 이하이면 지원 대상이 됐다. 이는 연 소득 약 5800만 원 이하의 직장가입자에 해당하는 금액으로, 고령자나 비경제활동 인구가 많은 점을 고려해 소득 기준이 완화 적용된 것이다.
맞벌이 가구는 홑벌이 가구보다 소득이 높아 상대적으로 불이익을 볼 수 있다는 지적에 따라, 가구원 수를 1명 더한 기준을 적용했다. 예컨대 2인 맞벌이 가구는 3인 가구와 동일한 건강보험료 기준을 적용받았다.
고액 자산가를 어떻게 제외할지도 쟁점이다.
건강보험료는 직장가입자와 지역가입자 모두에게 적용되지만, 산정 방식에 차이가 있다.
이 때문에 가구 형태나 가입 유형에 따라 건강보험료 수준이 달라져, 같은 소득 수준이라도 수급 자격에서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2021년 상생 국민지원금 지급 당시에는 건강보험료 기준을 충족하더라도 ▲ 재산세 과세표준 합계액이 9억 원을 초과하거나 ▲ 금융소득이 2000만 원을 넘을 경우 지급 대상에서 제외했다.
박정미 부산닷컴기자 likepea@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