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지역 은행 연체율이 올 들어 가파르게 뛰어오르면서 지역 경제 전반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한국은행 부산본부가 18일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부산지역 예금은행의 연체율은 지난 1월 0.63%에서 2월 0.75%, 3월 0.70%, 4월 0.81%를 거쳐 5월에는 1.07%까지 치솟았다. 이는 지난해 12월 0.49% 수준에서 불과 반년 만에 배 이상 증가한 것으로, 전국 평균과의 격차도 크게 벌어진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기업대출 부문에서 충격이 두드러졌다. 기업대출 연체율은 1월 0.75%에서 2월 0.97%, 3월 0.88%, 4월 1.04%로 오르더니 5월에는 1.47%에 달했다. 이는 전국 평균(0.77%)보다 0.7%포인트(P) 높은 수준이다. 반면 가계대출 연체율은 전국보다 다소 높기는 했지만 격차가 0.04%P 안팎에 그쳐 상대적으로 완만했다.
이 같은 급등 배경에는 지역 부동산 시장의 침체가 자리 잡고 있다. 인구 감소와 소비 심리 위축으로 주택 수요가 줄면서 미분양이 쌓였다. 특히 악성 미분양으로 꼽히는 ‘준공 후 미분양’은 지난 6월 2700가구로 2010년 7월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이 때문에 건설·부동산 업체들의 상환 여력이 떨어지고,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연체 위험이 커졌다는 분석이다.
여기에 예기치 못한 사고도 부담을 키웠다. 지난 2월 기장군에서 발생한 ‘반얀트리 해운대 부산’ 공사현장 화재로 시공사 삼정기업이 기업회생 절차에 들어가면서 관련 업체들의 자금 사정이 악화했다. 이는 지역 건설업계 전반에 부정적 파급효과를 낳았다.
부동산 경기뿐 아니라 내수 부문 회복이 지연된 것도 연체율 상승을 부추겼다. 음식·숙박·도소매·예술·여가 등 서비스업 전반에서 고금리와 경기 부진의 여파로 연체율이 확대되며 지역 경제의 이중고를 드러냈다.
한국은행 부산본부는 “앞으로 연체율 흐름은 부동산 시장을 비롯한 지역 경기 회복 속도와 PF 사업의 전개 상황에 크게 좌우될 것”이라며 “하반기에는 추가경정예산과 금리 인하 효과로 내수 개선이 기대되지만, 인구 감소 같은 구조적 문제와 PF 대출을 둘러싼 불확실성이 여전히 뚜렷하다”고 진단했다.
황석하 기자 hsh03@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