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지역 시민사회단체가 최근 금정구 옛 침례병원을 둘러싼 민간 매각 관련 논의를 중단하고, 부산시가 시민사회와 전문가가 참여하는 추진위원회를 꾸려 공공병원화에 나서야 한다고 주장했다.
건강사회복지연대 등 침례병원 공공병원화를 위한 부산 지역 노동·시민사회 단체들은 21일 오전 11시 부산시의회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박형준 시장은 즉각 옛 침례병원 부지 민간 매각과 관련한 모든 논의를 중단하고, 침례병원 공공병원화를 위한 구체적인 계획을 밝혀야 한다”고 밝혔다.
이들 단체는 “지난주 박 시장이 침례병원 부지 인수에 나선 민간병원 관계자를 만나 사업 계획까지 들었다는 충격적인 소식을 접했다”며 “그러나 시는 여전히 민간 매각은 없다는 말만 반복하고 있다”고 전했다. 이어 “이 만남 하나로 부산시는 신뢰를 잃었고, 공공병원화 약속은 허울뿐인 거짓이라는 의심을 사기에 충분하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민간병원이 침례병원 부지 인수를 추진하는 것은 적자가 예상돼 공공병원 운영이 어렵다는 주장과 배치된다고 밝혔다. 단체는 “민간병원은 수익 창출을 확신하며 부지 매입에 적극적으로 나서는데, 왜 시는 매년 수백억 원의 적자를 이유로 공공병원 운영을 포기하려 하느냐”며 “만약 (민간이) 부지 매입 후 용도 변경 등으로 부동산 개발 이익을 위한 것이라면 재앙이 될 것”이라고 전했다.
이들은 침례병원의 공공병원화가 진전이 없는 것에 시의 책임이 크고, 앞으로는 시민사회와 전문가가 참여하는 ‘침례병원 공공병원화 범시민추진위원회’를 구성해 종합 계획을 세워야 한다고 밝혔다. 이들은 “2022년 부지를 매입하고도 지금까지 공공병원화로 한 걸음도 나아가지 못한 책임은 전적으로 부산시의 의지 부재와 무능에 있다”며 “시는 두 차례나 건강보험정책심의위원회에 계획안을 제출했으나 ‘부실’ 평가만 받았다”고 밝혔다.
이어 “추진위원회를 통해 먼저 제대로 된 공공병원 종합계획을 만들고, 시민의 동의와 합의를 얻는 것이야말로 공공병원화를 실현하고 정부를 설득하는 가장 빠르고 확실한 길”이라고 주장했다.
손혜림 기자 hyerimsn@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