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일(현지 시간) 한미 정상회담 직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거듭 ‘폭탄 발언’을 쏟아내며 긴장감을 최고조로 끌어올렸다. 예기치 못한 트럼프 대통령의 돌발 메시지에 회담을 앞두고 대통령실도 긴장감을 감추지 못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이같은 메시지는 이 대통령과의 회담에서 우위를 점하기 위한 전략적인 행동이었던 것으로 풀이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오전 SNS 트루스소셜에 “한국에서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 것인가”라며 “숙청 또는 혁명같이 보인다”라고 썼다. 한미 정상회담 개최 약 3시간 전에 올라온 글이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어 “우리는 그것을 수용할 수 없고, 거기서 사업할 수 없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트럼프 “나는 새 대통령(이재명 대통령)을 오늘 백악관에서 만난다”며 “이 문제에 관심을 가져 주어 감사하다”고 썼다. 숙청 또는 혁명이라는 단어 언급은 한국 내 내란 특검 수사와 윤석열 전 대통령 등에 대한 수사·재판에 대한 뜻으로 해석됐다.
트럼프 대통령은 여기에 그치지 않고 한미 정상회담 직전 백악관 일정이었던 행정명령 서명식에서도 의미심장한 발언을 이어갔다. 트럼프 대통령은 SNS 게시글 작성 배경을 묻는 기자 질문에 “한국의 새 정부가 최근 며칠 동안 교회에 대해 매우 잔인한 단속을 벌이고 심지어 우리 군사 기지에 들어가 정보를 수집했다고 들었다”며 “우리는 용납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어 “그렇게 해서는 안 됐을 텐데 나쁜 소식을 들었다. 진실인지 아닌지 모르겠으나 새 대통령을 만나 확인해 볼 것”이라며 “(이재명 대통령과의) 만남을 기대하지만 그런 일이 있다면 우리는 절대 용납하지 않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트럼프 대통령이 언급한 군사 기지 정보 수집은 내란 특검이 최근 경기 평택시 오산 미군 기지 내 한국 공군 중앙방공통제소를 압수수색한 사실을 꼬집은 것으로 해석된다.
이 대통령은 이날 트럼프 대통령과의 회담에서 이와 관련된 질문에 “미군을 직접 수사한 것이 아닌, 그 부대 안에 있는 한국군의 통제시스템이 어떻게 작동했는지를 확인한 것”이라며 “지금 대한민국은 친위 쿠데타로 인한 혼란이 극복된 지 얼마 안 된 상태”라고 말했다. 이어 “내란 상황에 대해 국회가 임명하는, 국회가 주도하는 특검에 의해서 사실 조사가 진행 중”이라고 설명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같은 이 대통령 발언에 “추후에 더 논의를 해봐야 할 것 같다”면서도 “제가 듣기에는 한국에서 일어날 법한 일이 아닌 것 같았다”며 본인이 한국 특검 상황에 대해 오해했다는 취지로 답변했다.
워싱턴DC=곽진석 기자 kwak@busan.com
곽진석 기자 kwak@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