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수산부의 부산 이전이 현실화되면서, 부산은 명실상부한 ‘해양수도’로 거듭날 기회를 잡았다. 그러나 해수부 청사 이전만으로는 부산이 진정한 해양수도로 자리매김하기 어렵다는 지적이 지배적이다. 해양수도 부산의 비전을 완성하기 위해선 해수부와 시너지를 낼 수 있는 해양 관련 공공기관과 민간기업들이 함께 부산으로 집결해야 한다.
부산 이전이 가장 필요한 민간기업으로는 HMM을 꼽을 수 있다. 국내 최대 컨테이너 선사이자 유일한 국적 원양선사인 HMM은 해수부와 긴밀한 정책 협력이 필수적임에도 여전히 수도권에 본사를 두고 있다. 해운 정책 수립과 집행 과정에서 현장의 목소리를 반영하고 신속한 의사결정을 내리기 위해 해수부와 HMM이 지리적으로 가까워져야 한다는 목소리가 크다.
해수부 산하기관들의 부산 집적화 필요성도 제기된다. 현재 해수부 산하 17개 공공기관 중 이전 대상은 11곳이며, 해양환경공단 한국해양교통안전공단 한국항로표지기술원 해양수산과학기술진흥원 한국어촌어항공단 한국해양조사협회 등 6곳이 유력하게 거론된다. 이들 기관은 서울과 세종시에 있다.
문제는 보다 많은 관련 기관·기업을 부산으로 유치하기 위해서는 ‘해양수도 육성’이라는 명분만으로는 부족하다는 점이다. 이에 정부와 부산시가 이전 기관·기업들에 대한 이전 비용을 지원하는 것은 물론 그들의 부산 정착을 유인할 강력한 전략이 필요하다는 지적의 목소리가 나온다.
최우선 과제로는 이전기관 종사자를 위한 주택 특별 공급 등 정주 요건 마련을 꼽을 수 있다. 주택 특별 공급, 자녀 교육 지원, KTX 요금 할인 등 실질적인 혜택을 제공하여 임직원들이 가족과 함께 부산으로 이주할 수 있도록 심리적 장벽을 낮춰야 한다는 지적이다. 세제 혜택 확대로 이전 초기 비용 부담을 덜어주는 것도 방안으로 거론된다.
부산은 이전 기관 종사자를 위한 유인책 논의 강구에 본격적으로 팔 걷고 있다. 지난달 31일 해수부 노조와의 면담에서 박형준 시장은 “대승적 차원에서 부산 이전을 수용한 노조에 감사드리고 직원들이 안착하도록 전폭적인 지원을 하겠다”고 밝혔다. 부산시는 ‘글로벌 해양 허브 도시 추진위원회’를 꾸려 해수부 이전 관련 이전기관 지원 등 전반 사안을 챙기기로 했다. 29일에도 부산시 성희엽 미래혁신부시장과 해수부 김성범 차관 등 양 기관 실무자들이 모여 해수부 직원들의 정주 여건과 자녀 교육 등 해수부의 연내 부산 이전을 위한 위한 협력 사항을 구체화할 예정이다. 성 부시장은 “해수부 이전 준비와 관련해 주거·교육 등 정주 여건 34가지를 해수부에서 추려 제안해 왔다”며 “해수부와 긴밀한 협의를 통해 요청 사항을 중심으로 적극적으로 대안을 만들어가는 중”이라고 설명했다.
변은샘 기자 iamsam@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