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국혁신당 지도부가 당내 성 비위 사건에 책임을 지고 총사퇴했다. 당은 비상대책위원회 체제로 전환할 방침이다. 더불어민주당 최강욱 교육연수원장도 2차 가해성 발언 논란 끝에 결국 사퇴했다. 혁신당 성비위 사태 여파가 여권 전반으로 퍼져나가는 모양새다.
조국혁신당 김선민 권한대행은 7일 국회에서 최고위원회 긴급 기자회견을 열고 “가해자에 대한 관용 없는 처벌과 온전한 피해 회복을 위해 저와 최고위원 전원이 물러나겠다”고 밝혔다.
그는 “신생정당인 당은 미흡했다. 대응조직과 매뉴얼도 없는 상황에서 우왕좌왕 시간을 지체했다”며 “그러지 말았어야 했다. 모두 제 불찰이다. 진심으로 사죄드린다”고 밝혔다. 이어 “권한대행으로 절차와 원칙을 가장 중요하게 여겼다. 법적인 절차를 뛰어넘어 마음의 상처까지 보듬지 못했다. 더 과감한 조치를 해야하지만 못했다”며 “진심으로 사죄드린다. 이 일로 마음에 상처를 입은 당원 동지들, 국민에게도 머리 숙여 용서를 구한다”고 했다.
김 권한대행은 또 “관용 없는 처벌과 온전한 피해 회복을 위해 저와 최고위원 전원은 물러난다”며 “당에 무거운 짐을 넘겨 죄송하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현 상황을 수습해 국민과 당원 동지들 마음을 다시 모으리라 굳게 믿는다”며 “다시 한번 진심으로 사죄드린다”고 고개를 숙였다.
황명필 최고위원은 기자회견 뒤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올해 11월 조기 전당대회 전까지 당이 비대위 체제로 운영되냐는 질문에 “그렇다”고 답했다. 비대위원장 선출은 당무위원회(당무위)에서 논의하게 된다. 당무위 일정에 대해서는 “원내대표가 소집해야 한다”며 “오래 걸릴 일은 아니고 빠르게 해야 할 것”이라고 했다.
조국 혁신정책연구원장과 지도부 사퇴 관련 교감이 있었냐는 질문에는 “그런 건 없다”고 선을 그었다. 해당 성비위 사건이 조 원장 대법원 선고일인 지난해 12월 노래방에서 발생한 것과 관련해선 “(그 자리에) 참여했던 사람들 당직을 일시 정지해놨고, 오늘 조사에 들어간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앞서 지난 4일 혁신당 강미정 전 대변인은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통해 “당이 성추행 피해자들을 외면하고 제대로 된 조치를 취하고 있지 않다"며 탈당을 선언했다.
혁신당 사무총장에 이어 당 대표 권한대행, 최고위원 전원까지 사퇴 의사를 밝힘에 따라 혁신당 지도부는 사실상 공석 상태가 됐다. 혁신당은 올해 11월 조기 전당대회가 열리기 전까지 비대위 체제로 운영될 예정이다. 당내에서는 비대위원장을 조국 원장이 맡는 방안과 외부 인사가 맡는 방안이 주로 거론되는 것으로 전해졌다.
민주당 최 교육연수원장도 혁신당 성 비위 사건을 두고 2차 가해성 발언을 했다는 논란 끝에 사퇴했다. 최 원장은 이날 SNS를 통해 “당 교육연수원장직에서 물러나고자 한다”며 “지금 제가 맡기에는 너무 중요하고 무거운 자리라 생각해 왔다”고 밝혔다. 그는 “이유 불문, 저로 인해 많은 부담과 상처를 느끼신 분들에 대한 최소한의 도리라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거듭 송구할 뿐”이라며 “자숙하고 성찰하겠다”고 덧붙였다.
변은샘 기자 iamsam@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