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에서 지속가능한 경제 활동 확산을 위한 포럼이 시작했다. 지난해 부산시가 마련한 ‘ESG 시민운동’ 지원 조례의 후속 절차로, 시민 중심으로 ESG 가치를 실현하자는 게 포럼의 목적이다. 광역자치단체 단위에서 ESG 조례를 마련하고, 포럼을 진행하는 것은 전국 첫 사례이다. ESG는 경제 활동에 지속 가능성을 더해주는 환경·사회·거버넌스 3대 핵심 가치를 의미한다.
ESG시민운동본부는 17일 오후 부산시의회 대회의실에서 ‘제1회 ESG시민운동 포럼’을 열었다. 시민운동본부는 신라대 ‘ESG경영연구소’가 전신으로, 그동안 ‘ESG척척박사’와 ‘ESG아카데미’ 등 어린이부터 성인들까지 맞춤형 교육을 진행했다. 지난해 9월 산업통상자원부 최종 승인 뒤 운동본부 형태로 출범하게 됐다.
포럼 첫 번째 발제자인 동아대 김상현 교수는 ‘ESG 시민운동 활성화 방안’을 주제로 발표했다. ESG 실천을 선도적으로 추진하는 전남 해남군, 부산시의 ESG센터 등 다양한 국내외 사례를 비교하면서 “홍보 캠페인으로 시민 참여를 유도하고, 네트워크 구축을 통해 협력을 증진할 수 있도록 시민 교육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다.
부산 영도구 박현주 기획감사실장의 ‘영도의 ESG 활동’ 발표도 관심을 받았다. 커피숍이 많은 지역이다 보니 커피 찌꺼기를 활용해 자원 재활용과 일자리 창출을 동시에 이룬 사례 등이 소개됐다. 경남 남해군 보물섬봉사단 정현진 단장은 지역사회에서 진행된 ESG 활동 경험을 공유하면서 “구성원들의 적극적인 참여, 지자체 지원, 다양한 이해관계자 간 협력을 통해 성공적인 사례를 만들어가고 있다”고 말했다.
ESG시민운동본부 김성근 이사장은 “ESG 교육을 받은 어린이가 ‘지구야 미안해’라는 후기를 남긴 게 생각난다”며 “어른의 잘못으로 아이들이 미안해하고 있다. 생각보다 지구가 더 아프다”고 ESG 활동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이날 포럼은 100여 명의 시민이 찾아 자리 부족 현상이 빚어지기도 했다. ‘지구를 살릴 수 있는 마지막 처방’이라는 주제에 대한 시민의 관심을 확인할 수 있었다는 평가다. 또 일회용품 반입 금지에 따라 포럼 참석자들이 텀블러를 들고 와 눈길을 끌었다.
한편 지난해 4월 부산시의회는 ‘부산시 ESG 시민운동 지원 조례안’을 제정했다. ESG 실천 문화를 위한 시민들의 자발적 공익 활동에 대해 공식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근거를 명시화하는 내용을 담았다. 글·사진=김백상 기자 k103@
김백상 기자 k103@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