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적 뒷받침으로 부산이 가진 해양수산 인프라 강점 발전시켜야” [부산, 대한민국 해양수도]

입력 : 2025-09-24 19:22:00
페이스북 페이스북 카카오 프린트

부산 잠재력 대비 정책 효과 미미
청년 인재 머무는 기반 마련 절실

지난 4일 부산 해운대구 벡스코 제2전시장에서 2025년 해양수산 취업박람회가 열려 구직자들로 붐비고 있다. 김종진 기자 kjj1761@ 지난 4일 부산 해운대구 벡스코 제2전시장에서 2025년 해양수산 취업박람회가 열려 구직자들로 붐비고 있다. 김종진 기자 kjj1761@

부산 시민들은 항만, 해운 인프라가 풍부한 부산의 성장 잠재력에 대해서는 크게 공감하면서도, 해수부 이전을 계기로 강력한 정책적 뒷받침이 이어지지 않으면 부산의 미래는 물론 해양수도 건설도 요원할 것으로 내다봤다.

지난해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이 전국 만 19세 이상 성인 남녀 3000여 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해양수산 국민 인식도’ 조사 결과에 따르면, 우리나라 국민 10명 중 8명 이상이 우리나라를 해양국가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해양 강국 정책 추진에 대한 인식은 39%로 나타났으며, 해양수산 정책의 효과를 체감하는 정도에 관해서는 ‘체감한다’는 응답이 국민 10명 중 4명에 그쳤다.

이 같은 인식은 부산 시민들에게서도 비슷하게 나타났다. 부산대에 다니고 있는 부산 출신 강 모(21) 씨는 “부산에서 평생을 보내며 지인들의 부모님 등 많은 사람들이 해양과 관련한 업종에 종사하는 것을 보고 자랐기 때문에, 해양국가로서의 부산을 비롯한 대한민국의 발전 가능성은 충분히 인식하고 있다. 하지만 정착 청년 세대인 우리가 어떤 걸 부산에서 할 수 있을까 했을 때 막막한 지점이 있다”며 “정책이 정작 지역의 활성화로 이어지지 않으면서 많은 청년들이 부산을 떠나고 있다. 체감할 수 있는 정책이 필요한 시점이다”고 말했다. 이어 “다양한 해양 관련 공공기관, 기업들이 부산에 와서 많은 청년들이 부산에 머물게 되면 좋겠다”고 덧붙였다.

업계 종사자들도 이제는 새로운 대전환이 필요한 때라고 강조했다. 한 중도매인은 “수산업도 이제는 달라져야 한다. 전통적인 잡는 어업에만 의존해서는 미래가 없다”며 “부산은 냉동공장이나 항만 등 수출에 유리한 인프라가 이미 갖춰져 있다. 고부가가치의 수산물 가공을 통해 새로운 시장을 개척해 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수산물 데이터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하는 부산 기업인 씨라이프사이언스랩 정영인 대표는 “부산은 국내 수산물 유통의 핵심 거점임에도, 디지털 기반 유통 인프라와 정책적 지원은 여전히 부족하다”며 “강력한 정책적 지원을 기반으로 부산의 인프라 강점을 강화, 발전시켜 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부산이 글로벌 해양 경제의 중심지로 자리매김하기 위해 해양 디지털 인프라 구축과 글로벌 수산물 허브로서의 장점 활용이 핵심 정책 방향이 돼야 한다”며 “공공과 민간 데이터를 통합·표준화하여 수산물 공급망을 디지털화하고, AI 기반 수산물 수급 예측·가격 안정 시스템을 지원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한 양식업체 관계자도 “이제는 인프라를 넘어 부산을 중심으로 모이는 기술, 사람, 각종 기업들이 내는 시너지가 새로운 부산, 해양도시의 모습을 만들어 나가게 될 것”이라고 전했다.

박혜랑 기자 rang@busan.com

금정산챌린지

당신을 위한 뉴스레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