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석 밥상 오를 '김현지 논란'… 악재 맞은 대통령실

입력 : 2025-10-02 10:11:44 수정 : 2025-10-02 11:09:37
페이스북 페이스북 카카오 프린트

3일부터 7일간 추석 연휴
직전 '김현지 보직 이동' 논란 불거져
'정교유착' 의혹 국민의힘 정국 반전
김현지 고리로 대통령실 압박 총력전
대통령실 인사로 논란 자초 분석도

이재명 대통령은 김현지 총무비서관(왼쪽)을 제1부속실장으로, 윤기천 제2부속실장을 총무비서관으로 옮기는 내용이 포함된 대통령실 인사 및 조직 개편을 단행했다고 대통령실이 29일 밝혔다. 연합뉴스 이재명 대통령은 김현지 총무비서관(왼쪽)을 제1부속실장으로, 윤기천 제2부속실장을 총무비서관으로 옮기는 내용이 포함된 대통령실 인사 및 조직 개편을 단행했다고 대통령실이 29일 밝혔다. 연합뉴스

3일부터 7일간의 긴 추석 연휴가 시작되면서 여러 가지 정치권 이슈에 대한 민심이 분기점을 맞을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올해 국정감사를 앞두고 이재명 대통령의 '복심'으로 꼽히는 대통령실 김현지 총무비서관이 돌연 국감 출석 의무가 없는 자리로 보직 이동되면서 대통령실이 논란을 자초했다는 지적이 나온다. 국민의힘은 연일 김 실장 인사 논란에 대한 메시지를 쏟아내며 대통령실을 압박하는 모양새다.

대통령실은 최근 인사를 통해 이 대통령의 '성남 라인'이자 복심으로 꼽히는 김 비서관을 제1부속실장으로 보냈다. 김 실장에 대한 국감 출석 압박이 거세지는 상황 속, 돌연 김 비서관이 국감 출석 의무가 없는 부속실장으로 이동하면서 논란이 된 것이다. 대통령실 집사로 꼽히는 총무비서관은 매년 국감에 출석해 왔지만, 부속실장은 국감에 출석하지 않아도 된다. '대통령실이 김 실장의 국감 출석을 막기 위해 무리한 인사를 한 것'이라는 의혹이 나오는 이유다. 인사 직후 여론이 악화하자 김 비서관은 “국회에서 (출석 여부를) 결정하는 대로 따르겠다”는 입장을 주변에 밝힌 것으로 전해졌다.

대통령실도 이번 인사를 두고 '김 실장 국감 출석은 국회가 결정하는 바에 따를 것'이라고 거듭 강조하고 있다. 대통령실 김남준 대변인은 지난 1일 브리핑에서 "김 실장 본인은 국회가 결정하는 바에 100% 따르겠다는 입장을 분명히 하고 있고, 그 입장에 변함이 없다"고 말했다. 다만 더불어민주당이 다수 의석을 차지한 데다 국회 운영 주도권을 쥔 상황에서 국회 결정은 '국감 출석'과 직결되진 않을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국민의힘은 대통령실의 김 실장 '감싸기'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른바 '만사현통'(모든 것은 김현지를 통한다)을 주장하며 비판 수위도 끌어올리고 있다. 국민의힘 장동혁 대표는 "국정감사에 총무비서관을 출석시키려고 했더니 갑자기 자리를 바꿨다"며 "일각에서 용산 대통령이 실제로는 이 대통령이 아니고 모든 실권은 김 실장에게 있고, 김 실장이 모든 중요한 의사결정을 한다는 말이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김현지라는 사람만은 절대 국회에 나와서 안 되는 이유가 무엇인가"라고 반문했다. 그러면서 장 대표는 "김 실장이 입을 열면 안 되는 이유가 있는가"라며 "(국감 출석을) 피한다면 지금 많은 국민이 제기하는 의혹이 진실일 것"이라고 주장했다.

최수진 원내수석대변인도 논평을 내고 "대통령실은 김현지 실장의 국정감사 출석을 거부했고, 이를 피하기 위해 보직까지 변경했다"며 "이러한 꼼수는 입법부의 정당한 감시와 견제를 무시하는 것이자 '비선 실세' 논란을 스스로 키우는 일"이라고 지적했다. 특히 김 실장의 출신과 학력 등도 베일에 싸여 있어 국민의힘은 관련 법안까지 발의하며 압박을 이어가고 있다. 국민의힘 박수영 의원은 최근 재산 공개 대상 고위공직자의 신원 사항 공개 의무화를 골자로 한 이른바 '김현지 방지법'을 발의했다.

이준석 개혁신당 대표도 “대통령실 총무비서관은 1992년 이후 30년간 단 한 번도 국정감사에서 빠진 적 없었는데 이번엔 김현지라는 이름을 달고 있다는 이유만으로 특별 대우를 받고 있다”며 “삼권분립 원칙상 독립성이 보장되어야 할 사법부 수장은 국회로 불러내려 하면서, 국민 감시를 받아야 할 행정부 실세는 온갖 방법으로 보호하려 하는 것이 과연 정상적인 민주주의 국가 모습이냐”고 따졌다.

대통령실의 노골적인 인사 이동에 민주당 내부에서도 김 실장 국감 출석을 두고 이견이 나오는 상황이다. 최근 이 대통령의 국정 수행 지지율이 하락세를 그리는 데다, 측근의 '특혜 인사' 의혹 논란이 불거지면서 이번 논란은 추석 직후 민심에 악영향을 끼칠 것으로 전망된다. 대미 관세 협상 난항과 남북 관계가 평행선을 그리는 점도 이재명 정부의 부담으로 작용한다. 이 대통령은 올해 최대 글로벌 이벤트로 꼽히는 경주 APEC(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 정상회의에서의 민심 반전을 꾀할 것으로 보인다.

곽진석 기자 kwak@busan.com

금정산챌린지
wof

당신을 위한 뉴스레터

실시간 핫뉴스

FUN 부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