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국(사진) 전 조국혁신당 비상대책위원장이 내년 6월 지방선거 공략에 본격적으로 나서면서 전재수 해양수산부 장관의 부산시장 출마 시 공석이 되는 부산 북갑 보궐선거에 조 전 위원장이 나설 수 있다는 관측이 지역 정치권에서 제기되고 있다. 조 전 위원장이 자신의 고향이자 험지인 부산 출마에 나서고 혁신당이 지지 기반을 넓히고 있는 호남에서 자리를 확보하는 방식으로 더불어민주당과의 전략적 협의 가능성도 나온다.
조 전 위원장은 지난 6일 한 언론사 인터뷰에서 “여의도(국회의원)로 돌아와야 한다는 입장이 더 많다”고 밝혔다. 조 전 위원장이 사실상 혁신당의 구심점인 상황에서 광역단체장 출마는 당의 존립이 흔들릴 수 있어 원내 입성 도전에 무게가 실린다.
이에 정치권 일각에서는 조 전 위원장이 부산시장 출마로 공석이 될 수 있는 전 장관의 지역구인 부산 북갑에 출마할 수 있다고 전망한다. 전 장관의 부산시장 출마가 전제되어야 하지만, 부산 정치권에서는 최근 전 장관의 부산시장 출마를 상수로 보는 분위기가 역력하다.
전 장관 지역구인 북갑은 부산 18개 의석 중 민주당이 유일하게 차지하고 있는 곳이자 보수세가 강한 지역으로도 분류된다. 이번 6·3 대선 당시 이재명 대통령이 38.8%를 얻어 김문수 전 고용노동부 장관(54.0%)에 무려 15.2%포인트나 부족한 성적을 거둘 정도다. 이에 북갑은 전 장관의 개인기로 그 자리를 지켜왔다는 게 정치권 중론이다.
전 장관이 부산시장에 실제 도전한다면 민주당 부산 유일 의석인 북갑은 공석이 되는데, 지역 여권에서는 전 장관처럼 지역 밀착형으로 오랜 기간 탄탄하게 현장 기반을 닦거나 인지도가 높은 인사가 출마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그만큼 민주당도 북갑 수성이 쉽지 않다고 판단하는 것이다.
이런 민주당으로선 조 전 위원장의 북갑 출마는 최악을 피할 수 있는 카드다. 전 장관 출마로 공석이 되는 북갑에 새 후보를 내세워 국민의힘을 상대로 승리하는 것이 쉽지 않다는 전망이 나오기 때문이다. 부산 의석을 모두 국민의힘이 차지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는 것이다. 또 조 전 위원장 출마로 국민의힘을 견제하고, 대신 호남 일부 자리를 혁신당에게 내어주는 정치적 계산을 꾀할 수도 있다.
조 전 위원장으로서도 북갑은 보수 우세 지역인 만큼 자신의 고향인 험지 부산 출마라는 정치적 명분을 내세울 수 있다. 다만 조 전 위원장 딸 조민의 부산대 의전원 부정 입학 문제 등으로 부산에서 여론이 크게 좋지 않다는 점에서 고민은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나웅기 기자 wonggy@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