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교통공사가 내년 하반기 개통 예정인 양산도시철도를 운영하지 않기로 했다. 교통공사가 노선을 운영하는 데 필요한 비용이 양산시 지원금을 넘어서자 만성 적자에 허덕이는 교통공사는 운영에서 손을 떼기로 했다. 민간에서 도시철도를 운영하게 된 만큼 안전성에 대한 우려도 나온다.
부산교통공사는 양산도시철도(이하 양산선)를 운영할 민간 위탁 운영사 모집 공고에 입찰하지 않기로 했다고 22일 밝혔다. 양산선은 부산교통공사가 공사를 진행 중인데, 민간 운영사에 운영을 넘기게 될 경우 부산교통공사가 짓고 운영을 하지 않는 첫 사례다.
양산선은 부산 금정구 노포동에 위치한 부산도시철도 1호선 노포역~양산 북정동을 잇는 노선이다. 총연장 11.431km 규모의 양산선은 부산 구간 2.101km, 양산 구간 9.330km로 각각 나뉘어져 있다. 7개 역사가 들어서며 2026년 하반기 개통 예정이다.
부산교통공사는 현재 양산선 건설 공사의 위탁을 맡고 있는 만큼 당초 유력한 운영사로 예상됐다. 그러나 부산교통공사는 운영비 문제로 양산선 운영에 나서지 않기로 했다. 경남 양산시가 최근 진행한 용역을 통해 책정한 연간 운영비는 1년에 168억 원이다.
이에 따라 양산시는 운영사에 1년에 168억 원을 지원하게 되는데, 교통공사는 높은 인건비 탓에 운영을 할 경우 168억 원을 초과하는 비용이 지출될 것으로 내부적으로 판단했다. 결국 양산선은 부산도시철도 중 교통공사가 지어주고 운영은 민간이 하는 첫 노선이 됐다.
교통공사는 2020년 이후 적자 운영을 이어오고 있다. 운영 적자는 2020년 3148억 원, 2021년 3452억 원, 2022년 3441억 원, 2023년 3751억 원으로 증가세다. 지난해엔 4192억 원의 운영 적자가 발생했다.
교통공사 관계자는 “교통공사가 적자 기업이다 보니 지원액을 넘어서는 운영비를 감당하기 어렵다고 판단했다”며 “양산시에서 적자 보전을 해주지 않는 한 운영은 힘들다”고 밝혔다.
양산선이 민간 운영을 하게 되면서 근로자 안전사고 등 운영 미숙 문제가 대두될 것이란 우려도 나온다. 경기도 김포도시철도(김포 골드라인)의 경우 2019년부터 민간에서 운영을 하고 있는데, 정비 인력 부족으로 근로자 안전사고가 발생하기도 했다.
2011년 민자사업으로 준공돼 운영도 민간이 맡고 있는 부산김해경전철도 지연되는 일이 빈번하다. 지난 2021년엔 운행 장애로 수십 분 지연되며 퇴근길 시민들이 불편을 겪었고 2020년엔 출근 시간에 신호 장애로 열차 운행이 1시간 이상 중단됐다. 2019년에는 3시간 가까이 열차가 ‘올 스톱’ 됐는데 원인을 제때 밝히지 못하기도 했다.
민간 운영에 대한 우려 속 양산시는 지난 13일 양산선 민간 위탁 운영사 선정을 위한 사전 공고를 마치고 이달 말 입찰에 들어갈 예정이다. 양산시는 민간 위탁 운영사 선정 입찰에 전국에서 3개 업체가 참여할 것으로 전망한다. 지난해 4월 서울시 우이신설선 신규 운영사의 경우 경전철 제작 업체인 우진산전의 자회사인 우진메트로가 선정됐고, 신분당선은 두산건설 계열의 네오트랜스, 서울 신림선은 현대자동차 계열의 현대로템이 맡고 있다.
양산시는 오는 8월 중 민간 위탁 운영사 우선협상대상자를 선정한 뒤 9~10월 중에 최종적으로 계약할 계획이다. 양산시는 민간 운영에 대해 국내 도시철도 운영 사례 분석을 통해 운영 방식별 장단점을 면밀히 파악해 결정한 방안이라고 밝혔다. 운영 주체에 대한 적정성도 면밀히 파악하겠다는 입장이다.
양산시 대중교통과 관계자는 “타 지역 민간 운영 사례를 본보기 삼아 운영 과정에서 발생한 문제점들을 모니터링하며 양산선에선 같은 문제가 없도록 준비하고 있다”며 “입찰 과정에서 각 운영사를 꼼꼼히 검토해 가장 적합한 운영사를 선정해 안전하게 운행하겠다”고 말했다.
양보원 기자 bogiza@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