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격적인 부산 청사 확정, 지역사회 일제히 “환영” [해수부 수정동 시대]

입력 : 2025-07-13 20:28:00
페이스북 페이스북 카카오 프린트

예상보다 빨라 “신선한 충격”
부산시 적극 협력·지원 다짐
업계·정부 원활한 소통 기대
“부처 위상 강화” 주장도 많아

해양수산부 부산 이전 청사가 동구 수정동으로 확정된 가운데 13일 부산역 앞에 해수부 이전을 환영하는 플래카드가 걸려 있다. 정종회 기자 jjh@ 해양수산부 부산 이전 청사가 동구 수정동으로 확정된 가운데 13일 부산역 앞에 해수부 이전을 환영하는 플래카드가 걸려 있다. 정종회 기자 jjh@

해양수산부 부산 이전 청사를 동구 수정동 IM빌딩과 협성빌딩으로 확정했다는 발표가 지난 10일 나오자 지역 사회에서는 일제히 환영 입장을 나타냈다. 국정기획위원회 첫 보고 때 2029년 연말까지 새 사옥을 지어 옮기겠다던 해수부가 건물을 임대해 완전 이전하게 된 데 대해 신선한 충격으로 받아들이는 분위기도 읽혔다.

■전격적인 임대 사옥 결정 “환영”

박형준 부산시장은 지난 10일 해수부 발표 직후 자신의 SNS에 “해수부의 빠른 결정을 환영한다”고 밝혔다. 박 시장은 “부산시는 850명에 이르는 해수부 공무원이 근무할 수 있는 공간을 찾아 총력전을 펼쳤고 19곳을 파악해 전달했다”며 “해수부가 빠르게 임시 청사 위치를 결정한 만큼 연내 이전이 이뤄지도록 협력하고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곽규택(부산 서동) 국민의힘 의원도 해수부 발표 직후 “동구를 중심으로 해양수산 행정이 새롭게 출범하게 된 것을 영광스럽고도 책임 있는 일로 받아들인다”는 환영 성명을 냈다.

곽 의원은 “해양수도 부산의 시대적 요구에 부응하는 중대한 첫걸음의 출발지로 부산항 개항의 역사와 해양산업의 미래가 공존하는 북항, 전국 교통망의 핵심인 부산역이 위치한 동구가 선택된 것은 매우 상징적이고도 합리적인 결정”이라고 반겼다.

■업계 “현장 행정 기대”

해양수산업계는 해수부 부산 이전에 대해 현장 행정을 기대하는 분위기다. 부산항 한 부두 운영사 대표는 “중장기 정책 방향을 정부와 신속하고 긴밀하게 협의할 수 있게 돼 지금보다 훨씬 원활하게 소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지역 수산업계는 현안인 부산공동어시장 현대화 사업 중 대체 위판장부터 업무 공간 마련 등 해수부와 협의할 사항이 산적해 있다. 정연송 부산공동어시장 대표이사는 “현대화 사업 등 현안에서 정부와 민간, 지역 어업인 간 원활한 소통과 협력을 기대한다”며 “부산공동어시장이 국내 최대 산지 위판장 위상을 지키고 미래 경쟁력을 높이도록 적극 협력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수산물 데이터 플랫폼 서비스를 제공하는 지역 기업인 씨라이프사이언스랩 정영인 대표는 “다양한 아이디어를 가진 수산 관련 스타트업이 부산에 많고, 냉동창고를 비롯한 다양한 인프라도 부산에 풍부하지만 해수부는 이를 잘 모르고 있다는 인상을 받았는데 부산에 오면 이런 부분에 대한 이해가 더 높아질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부처 기능 강화, 유관 기관 함께 옮겨야

해수부 부산 이전을 계기로 부처 업무 범위를 확대하고, 유관·산하 기관들도 함께 부산으로 옮겨와야 한다는 주장도 많았다.

해양수도부산발전협의회는 13일 성명을 내고 “신속한 부산 이전 청사 확정을 환영한다”며 “해수부 부산 이전은 해양강국 건설의 기초 공사에 불과하고, 국가 해양정책을 총괄 집행하는 단위로 해수부가 자리매김해야 부산 이전의 취지와 목적에 부합한다”고 밝혔다.

이 단체는 조선,해양플랜트 등 해양 정책 집행에 필수적인 업무를 해수부로 통합하고, 북극항로 구축 등의 업무 확대에 따른 전문적이고 효율적인 정책 수행을 위해 복수 차관제를 도입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양재생 부산상공회의소 회장도 “각 부처에 흩어진 조선, 해양플랜트, 국제물류, 해양관광 등의 업무를 해수부로 통합해 조직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며 “HMM 같은 해운 대기업은 물론이고 해사법원을 비롯한 관련 공공기관도 부산에 집적하면 부산이 글로벌 해양수도에 한층 가까워질 것”이라고 기대감을 나타냈다.

익명을 요구한 해수부 출신 한 기관장은 “해수부가 미니 부처 한계를 넘어 실질적인 해양강국의 컨트롤타워가 되도록 ‘조선과 해양플랜트, 국제물류 총괄(복합운송주선업 포함), 해양 에너지 및 해상풍력, 섬 관리 업무를 해수부로 통합해야 한다”며 “이러한 변화는 부산만을 위해서가 아니라 대한민국이 해양을 발판으로 경제를 일으키는 중요한 모멘텀이 될 것으로 확신한다”고 강조했다.

한 조선기자재업계 관계자도 “해수부 부산 이전으로 현장 중심 정책을 펼치려면 산업통상자원부에 있는 조선 업무를 해수부로 통합함과 동시에 예산도 확충해야 진정한 의미의 이전이 이뤄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수중 무인로봇 서비스 개발·제공 업체인 언더워터솔루션의 옥수석 대표도 “해수부는 사실 큰 사업의 그림을 그리고, 지원 사업은 대부분 산하 기관에서 진행한다”며 “해수부뿐 아니라 각종 지원을 맡는 산하 기관이 함께 이전해야 지역 스타트업 협력이 원활해 질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호진 기자 jiny@busan.com , 송현수 기자 songh@busan.com , 박혜랑 기자 rang@busan.com

부산온나배너
영상제

당신을 위한 뉴스레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