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은 2009년 금융중심지로 지정될 당시 해양금융을 핵심 산업으로 삼았다. 해운과 조선, 기자재업체 등의 집적도가 높고, 환태평양과 유라시아를 잇는 세계 물류 허브로서 금융 발전에 필요한 인프라를 충분히 갖췄다는 이유에서다.
하지만 16년이 흐른 지금, 상당한 부분에서 전략 수정이 필요해 보인다. 이에 따라 부산국제금융진흥원(부금원) 해양금융센터는 부산을 해양특화 금융중심지로 발전시키기 위한 전략을 수립 중에 있다.
해양금융센터는 9일 부산 해양 특화 금융중심지를 위한 6가지 우선 과제로 △부산 해양특구 지정 △해양산업 유관 기관 집적으로 해양클러스터 고도화 △친환경 벙커링 허브 구축 △민간 해양금융 활성화 △정책금융 활성화 △해양금융 전문 인력 양성을 꼽았다.
해양클러스터 기능 강화를 위해서는 해양금융 수요자인 해운사의 이전과 정책 금융기관의 집적을 주요 과제로 꼽았다. 금융 거래는 물론 법무, 회계, 보험 등 부가 서비스도 활성화돼야 한다는 지적이다.
북극항로 개방과 해상 운송이 본격화되면 선박과 물동량이 부산항에 집중될 수 있는 만큼 싱가포르 오일 벙커링 시장 매커니즘을 참조해 친환경 벙커링 허브를 구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친환경 연료 거래는 물론 블록체인, 코인 등 디지털 금융의 플랫폼을 갖춰야 한다는 지적이다.
이동해 부금원 해양금융센터장은 무엇보다 민간 해양금융 활성화가 시급하다고 봤다. 이 센터장은 “선박금융시장은 주로 미 달러화로 거래돼 국내 민간 금융기관의 경우 선박금융 경쟁력에 있어 한계가 있다”면서 “시장을 세분화해 원화 선박금융 도입이 가능한 시장의 경우 거래 통화로 원화를 채택할 수 있게 해야 한다”고 부연했다.
이 센터장은 동남권투자공사의 조기 설립을 통한 친환경 전환 정책금융 지원도 확대해야 하며 그동안 해양금융이 축소돼 전문 인력이 턱없이 부족한 만큼 해양금융 전문 인력 양성에도 적극 나서야 한다고 주문했다.
이현정 기자 yourfoot@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