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공의 집단 이탈이 넉 달째 접어들면서 남은 의료진들은 한계에 부딪히고 있습니다. 최근 부산 동아대병원의 의사 2명이 사직서를 냈습니다. 이는 집단행동 차원에서 사직서를 제출한 것과는 별개로, 개인이 자발적으로 병원에 제출한 사례입니다. 사직 사유는 '과로'. 해당 과에는 의사 4명이 당직을 서고 있는데, 이중 2명이 사직 의사를 표한 것입니다. 병원에 따르면 해당 과의 경우 수술 건수가 많아 업무 강도가 높고, 최근 서울 상급병원에 가지 못하는 환자들이 부산 상급병원을 찾으면서 일이 더 몰렸다고 합니다. 이 와중에 부산 지역 병원들은 18일 집단휴진에 들어갑니다. 환자들은 의사들의 현장이탈에 생명의 위협까지 느끼고 있습니다. 이미 내년 의대 증원이 확정된 상황에서 의사들의 휴진에는 명분이 부족합니다. 국민들의 시선도 더 차가워질 뿐입니다. 이 경우 의료개혁도 일방적으로 진행될 수밖에 없어 실리도 찾을 수 없습니다.
의사들은 환자와 동료들을 위해 집단행동을 멈추고 정부와의 대화 테이블에 앉아야 할 때입니다.
|
|
|
|
전국 주요 대학병원 의대 교수들의 집단 휴진 동참이 이어지고 있다. 부산대·동아대 등 부산 지역 4개 의대 교수들이 대한의사협회(의협)가 오는 18일 예고한 집단 휴진에 동참하기로 결정했다. 서울 주요 대학병원 의대 교수와 전국의과대학교수협의회(전의교협)도 휴진에 나서기로 뜻을 모았다. 주요 대학병원들은 일제히 무기한 휴진을 결의하면서 대정부 압박 수위를 높이고 있다.
|
|
|
|
부산 남구청이 불과 5년 전 이기대 인근에 건립하려던 5층 카페에 대해 엄격한 경관 심의를 진행해 제동을 걸었던 사실이 확인됐다. 건설사 아이에스동서(주)가 최고 31층짜리 고층 아파트 단지 건립을 추진(부산일보 6월 7일 자 1면 등 보도)하고 있는 바로 그 자리다.
|
|
|
|
지역별 차등 전기요금제 시행 근거를 담은 분산에너지법이 14일 본격 시행된다. 이에따라 오는 2026년부터 발전소가 밀집돼 지역 내 전기 소비보다 발전량이 월등히 많은 지역 즉, 부산·경북·전남 등 원전밀집지역의 전기요금이 서울 등 수도권보다 싸지는 등 지역별로 소비자들이 부담하는 전기요금이 다르게 매겨질 전망이다.
|
|
|
|
호남 지역 중견 건설업체 남양건설이 법정관리를 신청하면서 부산 해운대구청 재송동 신청사 건립에 비상이 걸렸다. 아직 제대로 삽도 뜨지 않은 현장인데, 주관사가 법정관리에 들어간다면 완공 일정에 차질이 우려된다. 13일 법조계에 따르면 광주지법 파산1부는 지난 11일 남양건설로부터 법인 회생(법정관리) 신청서를 접수했다. 남양건설은 법인 회생을 시작하기 전 자산을 동결하는 절차인 법원의 포괄적 금지 명령 신청서도 함께 제출했다.
|
|
|
|
또래 여성을 잔인하게 살해하고 시신을 유기한 혐의로 기소된 정유정(24)이 무기징역을 확정받았다. 대법원 2부(주심 김상환 대법관)는 13일 살인·사체유기 등 혐의로 기소된 정유정에게 무기징역을 선고하고 30년간 위치추적 전자장치 부착을 명령한 원심판결을 확정했다. 대법원은 “피고인의 연령·성행·환경, 범행의 동기 등 여러 사정을 살펴보면 원심이 피고인에 대해 무기징역을 선고한 것이 심히 부당하다고 할 수 없다”고 밝혔다.
|
|
|
|
오늘 뉴스레터는 어떠셨나요?
|
솔직한 의견을 보내주세요!
|
만족해요
아쉬워요
|
|
|
|
부산일보가 취재해서 밝혀주길
바라는 내용이 있다면 알려주세요.
물론 응원 메시지도 언제나 환영합니다!
|
나의 의견 전송하기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