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기부는 지방거점국립대 5곳을 세계 수준 연구중심대학으로 육성하기 위해, 대학별 연 1000억 원씩 10년간 지원하는 방안을 국정기획위에 보고했습니다. 세계 100대 대학 진입을 목표로 하며, 지역 주도형 R&D 체계 구축과 과학문화 확산도 함께 추진됩니다.
|
|
|
|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지방거점국립대 5곳을 세계 수준의 연구중심대학으로 육성하기 위해, 각 대학별로 연간 1000억 원 10년간 총 1조 원씩을 지원하는 방안을 국정기획위원회에 제안했다. 각 대학의 특화 분야를 개발해 10년 내 ‘세계 100대 대학’ 3곳 진입을 목표로 하고, 지역 자율형 연구개발(R&D) 체계 구축을 통한 지역균형발전 전략도 함께 담았다. 이재명 대통령의 ‘서울대 10개 만들기’ 공약과 연계해 인재 유출과 지역 소멸을 동시해소하겠다는 구상이다.
|
|
|
|
부산 최초의 클래식 전용 공연장인 ‘부산콘서트홀’이 20일 문을 연다. 2015년 본격 사업에 착수해 10년 만에 개관하는 것으로, 부산은 클래식 전용 공연장을 가진 국내 여덟 번째 도시가 됐다.
|
|
|
|
이재명 정부 출범 이후 부산·울산·경남(PK)과 교육계 인재 기용이 부족하다는 우려가 이어진 가운데, 대통령실 국정기획위원회(이하 국정위)에 홍창남 전 부산대 부총장이 전격 발탁되면서 지역 안팎에서 기대가 모이고 있다.표성과 정책 전문성을 모두 고려한 결과로 해석된다.
|
|
|
|
관광객과 시민 등 유동 인구가 많은 부산도시철도 1호선 부전역 출구 주변이 쓰레기장으로 변했다. 한 노인이 자신이 수집한 폐지 등 폐기물 등을 모으면서 벌어진 일인데, 이를 단속해야 하는 구청은 몇 달째 대책조차 세우지 못하고 있다.
|
|
|
|
올여름 부산 해운대해수욕장을 무대로 공연과 스포츠, 체험형 콘텐츠가 어우러진 대규모 여름 축제가 처음으로 열린다. 축제는 해운대 여름 특유의 분위기를 되살리고 지역 상권에도 활기를 더하겠다는 목표를 갖고 있다.
|
|
|
|
오늘 뉴스레터는 어떠셨나요?
|
솔직한 의견을 보내주세요!
|
만족해요
아쉬워요
|
|
|
|
부산일보가 취재해서 밝혀주길
바라는 내용이 있다면 알려주세요.
물론 응원 메시지도 언제나 환영합니다!
|
나의 의견 전송하기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