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집값을 잡기 위한 정부의 고강도 대출 규제로 지방 부동산 시장도 위축이 우려됩니다. 다만 부산 해운대구, 수영구 등 상급지는 중장기적 투자 수요 가능성이 있습니다.결국 지방 중심의 활성화 대책이 관건입니다.
|
|
|
|
지난 27일 정부가 발표한 고강도 부동산 대책으로 부산을 비롯한 지방 광역시의 부동산 시장도 당분간 크게 위축될 것으로 우려된다. 수도권에 국한된 초강력 대출 규제 카드지만 ‘집값을 잡겠다’는 정부의 시그널이 명확히 드러나면서 지방 매수세도 움츠러들 가능성이 높다. 다만 이 같은 규제가 장기적으로 서울을 묶는다면, 해운대구나 수영구 등 부산의 상급지 위주로 투자금이 유입될 수는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
|
|
|
국정기획위원회가 29일 ‘해양수산부 부산 이전’을 ‘국민체감 신속 추진과제’로 선정했다. 법령 개정 없이 즉시 시행 가능한 과제들을 빠르게 실행에 옮기겠다는 의미다. 최근 이재명 대통령의 ‘해수부 연내 이전’ 주문에 발맞춰 국정기획위도 팔 걷고 나서면서 해수부 조기 이전 추진에 탄력이 붙을 것으로 보인다.
|
|
|
|
김경수 전 경남지사가 29일 이재명 정부 첫 대통령직속 지방시대위원장에 임명돼 향후 역할에 관심이 쏠린다. 장관급인 지방시대위원장은 이재명 정부 국가균형발전 정책의 세부 밑그림과 실행 로드맵을 성안한다. 비명(비이재명)계이자 지난 대선 당시 이 대통령과 경선에서 맞붙은 김 전 지사는 당내 대표적인 ‘균형발전론자’다. 이 대통령의 실용·통합 인선 기조가 재차 확인됐다는 평가가 나온다.
|
|
|
|
부산 전역에 폭염주의보가 내려지고 낮 최고기온이 30도 안팎을 기록하는 등 무더위가 기승을 부린 주말, 예년보다 열흘 일찍 개장한 부산 해수욕장에는 피서 인파가 몰렸다. 평소보다 조금 일찍 수영복을 꺼낸 시민들은 때 이른 ‘6월의 바캉스’를 즐겼다.
|
|
|
|
부모가 집을 비운 사이 화재로 초등학생 자매 2명이 숨진 부산 부산진구 개금동 아파트 참사(부산일보 6월 27일 자 2면 보도) 이후, 돌봄과 화재 대비 체계 전반에 대한 대책 마련이 추진된다. 부산시는 긴급돌봄 체계 현황을 파악해 보완하기로 했고 소방청은 스프링클러가 설치되지 않은 전국의 노후 아파트에 대해 긴급 안전 점검에 나선다.
| | | |
오늘 뉴스레터는 어떠셨나요?
|
솔직한 의견을 보내주세요!
|
만족해요
아쉬워요
|
|
|
|
부산일보가 취재해서 밝혀주길
바라는 내용이 있다면 알려주세요.
물론 응원 메시지도 언제나 환영합니다!
|
나의 의견 전송하기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