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당 내에서 대구경북 통합(TK)신공항 특별법안 2월 처리 방침이 가시화 되면서 가덕신공항이 ‘낙동강 오리알’이 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오늘 부산일보는 이와 관련된 뉴스를 쏟아냈습니다. 국토교통부가 공항 위치를 옮기면서까지 조기 개항을 추진하겠다면서도 정작 2030년 세계박람회 전 개항은 여전히 나몰라라 한다는 소식, 오는 4월 입국하는 엑스포 실사단도 인천공항만 이용한다는 소식, 우리나라와 2030 엑스포 유치 경쟁을 벌이는 사우디아라비아는 2030년 개항 목표로 활주로 6개를 갖춘 초대형 리야드 공항 건설에 나섰다는 소식, 지난달 30일 국민의힘 부산 의원 간담회에서 지역 간 갈등을 언급하며 TK신공항에 대해 '과도한 우려를 거둘 필요가 있다', 'TK신공항에 반대하지 않는다'고 밝힌 것을 대구·경북 여론이 반색한다는 소식 등입니다.
당내 다른 지역 의원들과 입장을 달리하는 이슈에 대해 조심스럽게 발언핧 수밖에 없다는 것은 이해합니다. 하지만 TK신공항의 '중추공항' 위상과 2028년 개항 목표까지 얘기가 흘러나오는 점을 감안하면, '반대하지 않는다'는 부산 의원들의 소극적인 태도가 과연 지역구 의원의 올바른 자세인지 따져볼 일입니다. 법안 내용을 살펴봤더니 TK신공항과 가덕신공항의 차이가 뚜렷합니다.
국민의힘 주호영 의원(현 원내대표)등 83명이 지난해 8월 2일 발의한 '대구경북 통합신공항 특별법안'은 제1조(목적)와 제3조(기본방향)에서 유사시 인천국제공항을 대체할 수 있는 중남부권 중추공항을 명시하고 있습니다. 앞서 2021년 1월 28일 추경호 의원(현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등 국민의힘 의원 28명이 발의한 같은 법안에서는 '영남권 및 중부내륙 관문공항'이었습니다. 국토부 공항개발 중장기계획에 따르면 '중추공항'은 글로벌 항공시장에서 국가를 대표하는 공항입니다. 현재 국내에선 인천공항이 유일합니다. 그 아래 개념이 '거점공항'인데, 일정 권역의 국내선과 단거리 국제선 수요를 담당하는 현재의 김해공항과 대구공항을 말합니다. 국토부는 국내 공항 권역을 중부권, 동남권, 서남권, 제주권, 4개로 구분하는데, 김해공항과 대구공항은 같은 동남권에 분류돼 있습니다. 2년 전 첫 법안 발의 당시 거점공항 수준이던 계획이 지난해 대통령 선거 이후 중추공항으로 격상된 겁니다. 반면 2021년 2월 26일 국회 본회의를 통과한 '가덕신공항 특별법'에서는 가덕신공항의 위상이 명시돼 있지 않습니다. '여객·물류 중심의 복합 기능 공항', '활주로 관리와 항공기 운항에 안전이 확보된 공항' 등의 일반적 조건만 언급할 뿐입니다. 물론 TK신공항 특별법도 국회 논의 과정에서 중추공항 지위가 수정될 여지도 있지만 상식적인 수준에서 논의될지 두고 봐야 합니다.
2030세계박람회를 부산에 유치하려는 이유가 무엇이었는지 되새겨볼 일입니다. 세계적 수준의 인프라를 짧은 시간에 구축할 가장 좋은 방법이고, 지긋지긋한 '수도권 중심주의', '서울공화국' 대한민국에서 수도권에 대응할 경제권으로 부울경이 자리매김하는 데 그 인프라들이 절실하기 때문입니다. 그 핵심 인프라가 가덕신공항입니다. 힘의 논리가 지배하는 정치 패러다임을 누구보다 잘 아는 지역 의원들이 이 사안을 전향적인 관점에서 바라보고 대처하도록 유권자인 시민들이 관심을 갖고 성원과 격려를 보내야 할 때입니다. 총선이 1년 2개월 남았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