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준표 대구시장이 지하철 무료 이용 연령을 65세에서 70세로 높여야 한다고 주장한 이후 오세훈 서울시장이 모든 가능성을 열고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맞장구를 쳤습니다.
최근 정부 차원에서 검토하는 국민연금, 노동 개혁과 함께 각 지방자치단체가 운영하는 도시철도 고령 인구 무료 이용에 따른 손실 보전 논의가 다시 불붙는 모양새입니다.
윤석열 정부가 내세우는 국민연금, 노동시장, 교육 개혁은 세대 간 이해가 엇갈리는 첨예한 문제입니다. 이미 각 지역 도시철도 운영사 적자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는 도시철도 무료 이용 연령에 대한 규정 역시 매우 민감한 문제입니다.
젊은 시절 지역 발전을 위해 애쓴 세대에 대한 예우, 누구나 그 지역에 사는 사람은 그 연령대가 되면 혜택을 볼 수 있는 보편적 복지로서의 이동권 보장 측면의 긍정적 효과가 분명히 큽니다. 하지만 고령층 도시철도 무료 이용에 따른 손실이 2021년 기준 부산교통공사의 약 56%를 차지한다는 분석도 있습니다. 향후 고령화 추세가 더 빨라지면 이 손실이 더 커질 수밖에 없겠지요.
결국 복지 수요에 대한 지방자치단체와 국가의 책임 분담과 이 문제는 궤를 같이 할 것으로 보입니다. 고령층에 대한 이동권 보장을 단순히 해당 지역만의 문제로 방기할 수는 없는 문제일 테니까요. 수도권에 살든, 지방 소도시에 살든 원하는 곳으로 이동하는 데 시간과 비용 면에서 감내할 수준 이상의 차등이 있어서는 안 되지 않겠습니까.
이런 측면에서 2030 세계박람회를 부산에서 열고자 하는 것은 부산만의 발전을 위해서가 아니라 우리나라의 균형 발전을 위해 반드시 필요한 일이라고 생각됩니다. 수도권이 아니어도 누구나 기본적 이동권을 누릴 수 있는 나라, 지방에서도 젊은이들이 꿈을 꾸고 그 꿈을 실현할 수 있는 나라를 만들기 위해 2030 세계 박람회 부산 유치는 꼭 필요합니다. 서울과 수도권 밖의 삶은 생각해본 적도 없는 기존 주류를 벗어나 지역의 가능성을 높일 계기는 대한민국의 지속가능성을 위해 반드시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