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사기 무서워”… 부산·경남 오피스텔 월세 급증

입력 : 2024-06-20 19:47:00
페이스북 페이스북 카카오 프린트

1~5월 오피스텔 임대 월세 비중
부산 78·경남 82% 전국 상위권
매매가 28개월째 지속 하락 불구
전월세 전환율 6.51%까지 치솟아
주거 취약계층 부담 상대적 가중

지난해 전국을 뒤흔든 전세사기 여파로 ‘전세 포비아(공포증)’가 만연하며 오피스텔 임대차 시장이 전세가 아닌 월세 위주로 재편되고 있다. 부산 부산진구 한 부동산에 안내문이 붙어 있는 모습. 김종진 기자 kjj1761@ 지난해 전국을 뒤흔든 전세사기 여파로 ‘전세 포비아(공포증)’가 만연하며 오피스텔 임대차 시장이 전세가 아닌 월세 위주로 재편되고 있다. 부산 부산진구 한 부동산에 안내문이 붙어 있는 모습. 김종진 기자 kjj1761@

지난해 전국을 뒤흔든 전세사기 여파로 ‘전세 포비아(공포증)’가 만연하며 오피스텔 임대차 시장이 전세가 아닌 월세 위주로 재편되고 있다. 오피스텔 공급 물량이 줄어들면서 결국 월셋값이 치솟게 될 텐데, 청년과 1인 가구 등 주거 취약계층의 ‘주거 사다리’가 무너지는 결과로 이어진다는 지적이다.

20일 부동산 정보 플랫폼 다방에 따르면 올해 1~5월 발생한 전국 오피스텔 전월세 거래 10만 5978건 가운데 월세가 6만 9626건으로 전체의 66%를 차지했다. 이는 작년 같은 기간보다 4%포인트(P) 상승한 수치다.

전국적으로 볼 때 월세 거래 비중이 가장 높은 곳은 경남(82%)이었다. 세종(79%)과 부산(78%), 경북·제주(76%), 충북(73%), 울산(71%), 강원·대전(67%), 서울(66%) 등이 뒤를 이었다.

전년 대비 월세 거래 비중이 가장 많이 증가한 곳은 제주로 작년 69%에서 올해 76%로 7%P 늘었다. 경남은 5.2%P 증가했고 부산은 3.7P 늘어났다.

랜드월스 김혜신 대표는 “주거용 오피스텔이라는 개념이 서울 등 수도권에서 먼저 시작했기 때문에 부산보다는 서울의 전세 비율이 높을 수밖에 없다”며 “지방으로 갈수록 원룸 형태의 소규모 오피스텔이 많아지는 구조라 월세로 임대차 계약을 맺을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전세에서 월세로 전환하며 월셋값은 치솟고 있다.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지난달 전국 오피스텔의 전월세 전환율은 6.11%로 3월에 이어 3개월 연속 6.11%를 기록했다. 이는 부동산원이 관련 통계를 집계하기 시작한 2018년 1월 이래 가장 높은 수치다.

부산의 경우 전국 평균보다 전월세 전환율이 높은 6.51%로 나타났다. 부산에서 전월세 전환율은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있고, 2020년 3월 이후 그 수치가 가장 높았다.

전월세 전환율은 임대 보증금을 월세로 전환할 때 적용하는 비율이다. 전월세 전환율이 높아지면 전세를 월세로 치환할 때 월셋값이 그만큼 올라갈 수밖에 없다. 상대적으로 거액인 전세 보증금을 감당하기 어려운 주거 취약계층의 부담이 그만큼 커지는 것이다.

특히 40㎡ 이하 소규모 오피스텔의 전월세 전환율이 6.21%로 전국 평균을 상회하며 월세 부담이 상대적으로 더 높았다. 다방 관계자는 “전세 포비아가 빌라에 이어 오피스텔 시장 전반으로 번지며 월세 거래 비중이 늘어나고 있다”며 “소형 오피스텔의 전월세 전환율이 월등히 높다는 것은 1인 가구 등 주거 취약계층에게 월세 부담이 가중된다고 볼 수 있다”고 말했다.

오피스텔 임대료는 상승 곡선을 그리고 있는데 반해 매매가격은 하락세를 좀처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지난달 부산 지역 오피스텔 매매가격지수는 99.08로 2022년 2월 107.65를 기록한 뒤 27개월째 하락하고 있다. 매매가가 떨어지니 매력적인 투자처를 찾는 신규 수요자들은 오피스텔을 외면했고, 신규 공급 물량은 크게 줄었다.

주택산업연구원은 지난 17일 세미나에서 올해 오피스텔과 생활형숙박시설의 공급이 예년 평균 대비 90% 급감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오피스텔은 아파트의 대체재로 각광받으며 2019년 전국에 10만 8300여 실이 입주하는 등 전성기를 구가했다. 그러나 2020년 8월부터 정부가 주거용으로 사용하는 오피스텔을 주택 수에 포함한 데다 고금리 직격탄을 맞으며 휘청이고 있다.

김혜신 대표는 “임대차 시장이 월세 중심으로 재편된다면 결국 서민들이 매달 내야 하는 주거비용이 상승하는 것”이라며 “결국 공급을 늘려야 이 문제가 해소되는데, 어떤 형태로 임대차 시장의 주거난을 해소할지 정부가 심각하게 고민해야 할 때”라고 말했다.

안준영 기자 jyoung@busan.com

당신을 위한 뉴스레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