힐러리 클린턴 미국 대선 민주당 후보는 안보에 있어서는 한국을 비롯한 동맹국과의 협조를, 외교에 있어서는 중국을 의식한 철강업종 등에 대한 보호무역, 핵문제에 있어서는 비핵화를 선결 조건으로한 대화를 내세웠다.
클린턴 후보의 공약은 도널드 트럼프 공화당 후보의 신고립기조와는 상반된다느 점에서 주목을 끌고 있다.
28일(현지시간) 클린턴 후보는 이날 밤 민주당 전당대회장인 펜실베이니아 주(州) 필라델피아의 농구경기장 '웰스파고 센터'에서 한 후보수락 연설에서 집권 후 펼칠 외교·안보 구상의 일단을 공개했다.
◆안보= 동맹국과의 협력통한 대테러 전쟁 등 수행
클린턴은 테러와의 전쟁에서 "모든 미국인, 그리고 동맹과 함께 협력할 것"이란 점을 분명히 했다.
이는 트럼프 후보가 내세웠던 방위비분담금 증액, 미군 철수 발언과는 확연히 대조를 이룬다.
민주당은 앞서 전당대회 첫날인 지난 25일 클린턴의 입장을 반영한 정강을 통해 북한의 핵과 미사일위협, 그리고 인권유린 행태를 거론하면서 "상황이 이런데도 트럼프는 북한의 독재자를 칭찬하는 동시에 우리의 동맹인 한국과 일본을 포기하겠다고 위협하고 역내 핵무기 확산을 독려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트럼프는 앞서 신(新)고립기조를 천명한 뒤 서방의 집단안보체인 나토 회원국이 공격받아도 자동개입(나토규약 제5조) 하지는 않겠다고 위협함과 동시에, 방위비 분담금 협상에 제대로 응하지 않는 동맹에 대해서는 미군 철수도 검토할 수 있음을 강하게 시사했다.
◆경제= 철강업종 등 중국 겨냥한 보호무역 천명…한미FTA 재협상은 언급치 않아
민감한 경제현안에 있어서는 트럼프와 흡사한 보호무역을 내세웠다.
클린턴은 연설에서 통상 이슈와 관련해 "우리가 불공정 무역협정에 단호히 '노'라고 말해야 한다고 여러분이 믿는다면 우리는 중국에 맞서야 한다"면서 "우리는 철강 노동자와 자동차 노동자, 국내 제조업자들을 지지해야 한다"고 역설했다.
그러면서 "이런 노력에 여러분이 동참해 달라"고 촉구했다.
클린턴이 자신의 육성으로 '불공정 무역협정 반대'라는 입장을 공식화한 것으로, 이는 이번 대선의 핵심 승부처 중 한 곳인 중북부 '러스트벨트'(쇠락한 미국의 공업지대)의 노동자 표심을 의식한 포석이다.
단 클린턴은 한미 자유무역협정(FTA)이나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TPP) 등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았다.
트럼프는 이"클린턴은 일자리를 죽이는 한국과의 무역협정을 지지했고 TPP도 지지했다"면서 "중국과 그리고 다른 많은 나라와의 끔찍한 무역협정을 완전히 재협상할 것"이라고 선언했었다.
◆핵 문제= 비핵화 없이는 대화 없다…북핵 강경입장 고수할 듯
클린턴은 지난해 타결된 이란과의 역사적인 핵합의를 거론하며 "총 한 발 쏘지 않고 이란의 핵프로그램을 봉쇄해 자랑스럽다"고 단언했다. 핵문제에 관해서는 '절대 불용'이라는 단호한 입장을 취하되 비핵화 약속시 얼마든지 대화로 풀 수 있다는 큰 원칙을 내비친 것이다.
그러나 클린턴이 이날 북핵 문제에 대해 전혀 언급하지 않았지만 북한에 대해서는 '비핵화'원칙을 고수하고 있다.
이밖에 불법이민자 강제추방 유예 등 이민자 포용정책을 지지하는 클린턴은 이날 "종합적인 이민개혁이 우리의 경제를 성장시키고 가족들을 하나로 뭉치게 하는 올바른 길"이라고 역설했다.
트럼프는 불법 이민자와 폭력배, 마약이 우리 공동체로 들어오는 것을 막기 위해 거대한 장벽을 건설하고, 인신매매와 폭력의 고리를 차단하며, 불법적인 국경이동을 차단하겠다고 밝혔었다.
사진=YTN 뉴스 영상 캡처
이동훈 기자 ldh@
< 저작권자 ⓒ 부산일보(www.busa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