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청은 치매·우울증 등 정신적 질환의 원인, 보청기 보급률 높여야"

입력 : 2016-08-25 15:39:00 수정 : 2016-08-25 15:42:00
페이스북 페이스북 카카오 프린트

"난청은 치매·우울증 등 정신적 질환의 발생률을 높이는 원인입니다. 보청기 보급률을 높이기 위한 고민이 필요할 때입니다."
 
조양선 성균관의대 이비인후과 교수는 25일 대한이과학회 주최로 서울 용산구에 있는 대한의사협회관에서 열린 '귀의날 50주년 기념 공청회'에서 이와 같이 말했다.
 
청력은 dB HL로 나타낸다. 25 dB HL이하를 정상 청력, 26~40 dB HL을 중도난청, 56~70 dB HL을 중고도 난청, 71~90dB HL을 고도난청, 91 dB HL이상을 심도난청으로 분류한다.
 
난청은 40dB 이상의 청력 저하가 있을 때를 말한다. 2010년 부터 2012년까지 시행한 국민건강영양조사에 따르면 12세이상의 국민을 대상으로 청력 검사를 실시한 결과 양쪽귀가 모두 난청인 경우는 12175명(4.45%), 한쪽귀만 난청인 경우는 1425명(5.98%)으로 나타났다.
 
난청의 유병률은 나이에 따라 증가했다. 20대에서는 0.11%, 30대에서는 0.35%, 40대에서 0.90%, 50대에서 3.43%, 60대에서 11.88%, 70대에서 26.26%, 80대 이상에서52.83%로 됐다. 60세 이상의 노인인구중에서 52%에서 난청이 보고된다.
 
조 교수는 "난청의 원인에는 중이염, 이독성 약물, 소음 등의 다양한 원인이 있지만,  노화에 의한 난청이 가장 큰 요인임을 설명해주는 조사결과"라고 평가했다.
 
특히, 조 교수는 난청이 치매의 원인이 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난청 노인, 정상인 비해 치매확률 1.89배 높아
보청기 사용시, 난청에 따른 질환 발병률 낮춰
보청기보조금  등 정부의 적극적인 홍보 필요



그는 미국 존스흡킨스 의대와 국립노화연구소와의 공동연구를 소개하며 "경도 난청을 겪는 노인이 청력이 정상인 노인보다 치매발생 확률이 1.89배 높았다"고 강조했다.
 
조 교수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선 보청기의 보급률을 높일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조사에 따르면 40세 이상 인구에서 중등도 이상의 난청(41 dB HL)을 가졌으나 보청기를 사용하지 않는 사람은 약 64만명으로 집계된다.
 
보청기 보급률이 이처럼 낮은데는 비싼 보청기 가격, 보청기에 대한 낙인효과, 이해 부족 등이 꼽힌다. 
 
우리나라는 국민건강보험버 시행규칙과 보건복지부령 364호에 따라 지난해 11월 15일부터 보청기 보조금을 34만원에서 131만원으로 상향했다.
 
2~6급의 복지카드 소지자는 5년에 1회씩 131만원 중 90%인 117만 9천원을 지급 받게 된다. 기초생활수급자와 차상위계층은 131만원 전액을, 15세미만 청각아동은 262만원 양쪽 귀의 지원이 가능하다.
 
쉽게 말해, 청각장애를 인정받게 되면 보조금 내에서는 무료로 보청기를 할 수도 있게 된다는 의미이다.
 
조교수는 "최근 노인 인구 증가 등으로 난청 인구수는 증가하고 있다"며 "그러나 보청기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부족해 아직도 보청기 보급률은 낮은 편이다"고 말했다.
 
귀를 통해 소리를 듣지 못한다면, 대화를 통한 소통이 어려워 사회적으로 고립될 가능성도 높다며 국가적 관심과 홍보가 필요하다고 그는 역설했다.
 
조교수는 "정부가 보청기에 대한 홍보를 통해 사회적 인식을 바꾼다면, 사회적 고립자와 우울증 환자 등 정신질환의 예방 효과도 높일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이동훈 기자 ldh@

< 저작권자 ⓒ 부산일보(www.busa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부산온나배너

당신을 위한 뉴스레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