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값 급락 전망…소비자심리지수 7개월 만에 하락

입력 : 2017-08-25 11:00:07 수정 : 2017-08-25 12:55:22
페이스북 페이스북 카카오 프린트

부산 해운대 신시가지. 김경현 기자 view@

새 정부 출범 기대 등으로 고공비행을 해온 소비자심리가 한 풀 꺾였다. 정부 부동산대책 발표 영향으로 주택 가격이 오른다는 예상도 급격하게 줄었다.

한국은행이 25일 발표한 '2017년 8월 소비자동향 조사결과'를 보면 이달 소비자심리지수(CCSI)는 109.9로 7월보다 1.3포인트(p) 떨어졌다.

이 수치가 기준값(2003년 1월∼2016년 12월 평균치)인 100을 넘으면 소비자심리가 장기평균보다 낙관적이라는 뜻이다.

소비자심리지수가 하락하기는 지난 1월(93.3) 이후 7개월 만이다. 올해 2∼7월에는 6개월간 17.9p나 뛰었다.

사상 최장 오름세를 보이던 소비자심리가 뒷걸음질한 것은 북핵 리스크 영향으로 분석됐다. 박상우 한국은행 통계조사팀장은 "소비자심리지수가 하락한 가장 큰 요인은 북핵 문제로 파악됐다"고 말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8일(현지시간) 북핵 문제와 관련해 '화염과 분노' 발언을 하며 한반도에 긴장이 고조됐다. 코스피가 급락하고 원/달러 환율이 급등하는 등 금융시장도 예전보다 훨씬 예민하게 반응했다.

한은 소비자동향조사는 불안심리가 팽배하던 11∼18일 전국 도시의 2200가구(응답 2004가구)를 대상으로 이뤄졌다.

다만, 이번주 들어 북핵 리스크가 다소 완화됐기 때문에 소비자 불안감은 조사 당시보다 줄었을 것으로 보인다.

소비자동향지수(CSI)를 구체적으로 보면 향후경기전망이 104로 한 달 사이 5p 떨어졌다. CSI가 100을 넘기면 긍정적 응답이 부정적 응답보다 많다는 뜻이고, 100을 밑돌면 반대를 의미한다.

현재생활형편CSI는 7월 95에서 8월 94로 1p 낮아졌고, 생활형편전망(104→102), 현재경기판단(96→93)도 각각 내림세를 나타냈다.

반면 소비지출전망은 109로 한 달 전보다 1p 올랐다.

1년 후 집값 전망을 물어본 주택가격전망CSI는 99로 16p 급락했다. 한국은행이 주택가격전망CSI 통계를 내기 시작한 2013년 1월 이후 가장 큰 폭으로 내린 것이다. 이전에는 2015년 12월(-11p)이 가장 컸다. 박상우 팀장은 "정부가 '8·2 부동산 정책'을 내놓은 효과로 생각한다"고 말했다. 정부가 서울 전역과 세종시를 투기과열지구로 지정하는 등 강력한 대책을 발표하자 부동산 시장이 급격히 냉각됐다.

임금수준전망CSI는 125로 1p 오르면서 넉 달 연속으로 최고치를 경신했다. 정부가 일자리와 가계소득 확대에 방점을 둔 데 따른 기대감으로 풀이된다.

지난 1년간 소비자물가상승률에 대한 인식을 보여주는 '물가인식'은 2.5%로 7월과 같은 수준으로 조사됐다. 앞으로 1년간 소비자물가상승률 전망을 나타내는 기대인플레이션율은 2.6%로 0.1%p 올랐다.

소비자물가 상승에 영향을 줄 품목(복수응답)은 농축수산물(45.8%), 공공요금(43.2%), 공업제품(38.7%) 등의 순으로 꼽혔다. 이주환 기자 jhwan@busan.com



부산온나배너
영상제

당신을 위한 뉴스레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