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첫 해체 대상 원전인 고리1호기를 중심으로 대한민국 원전해체산업의 육성 방향을 모색하는 정책 세미나가 국회에서 열렸다.
국민의힘 정동만 의원은 24일 오후 국회의원회관 제3세미나실에서 ‘대한민국 원전해체산업 육성전략 – 고리1호기를 중심으로’ 세미나를 개최했다. 이번 행사는 영구정지된 원자력발전소의 안전하고 경제적인 해체를 추진하기 위한 전략을 모색하고, 대한민국이 글로벌 원전해체시장 선도국가로 도약할 수 있는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토론회에서는 고리1호기 해체 경험을 기반으로, 지역 중심의 산업 생태계 구축과 기술개발, 안전 시스템 정비, 인재 양성 등 원전해체산업 육성 방안이 폭넓게 논의됐다. 이광호 한국원자력환경복원연구원 연구본부장이 발제를 맡았고, 좌장은 김종도 국립한국해양대학교 교수가 진행했다. 윤정원 산업통상자원부 원전환경과장, 권원택 한국수력원자력 원전사후관리처장, 이재설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 기술혁신본부장 등 정부·연구기관·기업 관계자들도 패널로 참석했다.
세계 원전 운영 현황에 따르면 원전 해체 시장은 2110년까지 약 549조 원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됐다. 각국의 호기당 해체비용 충당금은 미국 7800억 원, 프랑스 4856억 원, 독일 8590억 원, 일본 9590억 원 수준으로 계산됐다.
국내 원전해체 시장 역시 약 28조 원 규모로 추산된다. 우리나라의 호기당 해체비용 충당금은 약 8726억 원으로, 2100년까지 32호기가 해체된다. 고리1호기(2017년 영구정지)와 월성1호기(2019년 영구정지)는 원자력 정책 변화와 관계없이 해체 절차가 진행 중이다.
이날 세미나에 참석한 업계 관계자들은 원전해체사업의 조속한 발주, 기술개발과 사업 연계성 확보, 해체비용 충당금의 현실화 필요성을 강조하며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을 요청했다.
정 의원은 “고리1호기가 전 세계가 주목하는 해체 모범 사례가 될 수 있도록 철저히 준비해야 한다”며 “안전하고 지속 가능한 원전 생태계를 완성하는 마지막 퍼즐은 바로 해체 기술력 확보”라고 강조했다. 이어 “대한민국의 눈부신 경제성장은 고리1호기가 있었기에 가능했고, 그 뒤에는 기장군민의 헌신과 인내가 있었다”며 “기장군민께 보답한다는 마음으로, 부산이 세계 원전산업의 중심지로 우뚝 설 때까지 최선을 다하겠다”고 덧붙였다.
탁경륜 기자 takk@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