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선 공약화" 지역 정치권 가세 '북항 야구장' 급물살

입력 : 2025-04-30 20:45:00
페이스북 페이스북 카카오 프린트

곽규택 의원, 김·한 캠프에 공식 제안
부산시·BPA 등과 기관 협의체 추진
부산 민주당도 "장기간 검토" 채택 의지
원도심 지자체·주민들 잇단 환영 의사

부산 북항에 야구장과 복합 콤플렉스가 생기면 부산의 상징적인 시설이자 원도심 활성화의 기폭제가 될 것이라는 기대가 커지고 있다. 챗GPT를 활용해 만든 북항 랜드마크 부지 바다 야구장 상상도. 부산 북항에 야구장과 복합 콤플렉스가 생기면 부산의 상징적인 시설이자 원도심 활성화의 기폭제가 될 것이라는 기대가 커지고 있다. 챗GPT를 활용해 만든 북항 랜드마크 부지 바다 야구장 상상도.

(주)협성종합건업 정철원 회장의 2000억 원 기부 약속(부산일보 4월 30일 자 1면 등 보도)을 기점으로 부산 북항 야구장 건립 움직임이 빠르게 탄력을 받고 있다. 북항 랜드마크 부지가 야구장 최적지라는 여론이 결집하는 동시에 정치권 여야 모두에서 북항 야구장을 대선 공약으로 만들기 위한 움직임이 가시화됐다.

국민의힘 곽규택(서동) 의원은 국민의힘 대선 최종 경선에 오른 김문수·한동훈 후보 양 진영에 북항 야구장을 공약화하는 방안을 공식적으로 전달했다고 30일 밝혔다. 두 후보 모두 부산에서 바다와 야구장이 지닌 상징성을 충분히 이해하고 있어 긍정적인 결과를 기대한다는 게 곽 의원의 설명이다.

북항 야구장 추진을 위한 관련 기관들의 협의체도 만든다. 부산시와 부산항만공사(BPA), 상공계 등 북항 야구장 건립에 관여하는 기관들의 소통 기구를 조직하고, 빠른 시일 내 논의를 본격화할 계획이다. 곽규택 의원은 “정 회장의 기부 약속으로 그동안 누적된 북항 야구장에 대한 염원이 분출되는 것 같다”며 “바다 야구장을 현실로 만들기 위해 관계 기관 협의는 물론 다양한 방법을 마련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더불어민주당 내부에서도 북항 야구장의 대선 공약화 가능성을 높게 보고 있다. 민주당 부산시당은 북항 야구장을 장기간 검토해 와 구체적인 로드맵을 이미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다. 동래구 등 지역 주민을 위해 사직구장 활용 방안도 준비하고 있다. 민주당 부산시당 관계자는 “북항 야구장 건립이 곧 대선 공약으로 채택될 것이다”며 “긴 시간 준비해 내실 있는 공약이 나올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부산 원도심 지자체들도 상당히 고무적인 분위기다. 사직구장 재건축이 부산시의 공식적인 입장이다 보니, 원도심 지자체들이 적극적으로 북항 야구장에 대한 환영 의사를 공개적으로 드러내지는 못하고 있다. 하지만 원도심 지자체들 사이에선 북항 야구장이 유동 인구를 극적으로 늘리는 기폭제가 될 수 있다는 공감대가 형성돼 있다.

원도심 한 지자체 관계자는 “북항 야구장 이야기를 공식적으로 꺼내기가 조심스러운 면이 있지만, 속으론 다들 성사되기를 바라고 있다”며 “원도심 부활의 단초를 제공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

해양 관련 노조가 부산의 야구장 건립을 돕겠다고 나선 과거 발언들도 다시 조명을 받고 있다. 2023년 12월 한국노총 부산지역본부는 “국내 최대 해운사인 HMM의 사내 유보금 10조 원을 부산의 발전에 써야 한다”며 돔구장 건설 등을 예시로 제시했다. 당시 HMM은 하림에 매각이 추진되던 시기였다. HMM이 부산항을 통해 성장한 만큼, 매각을 추진하기보다 야구장을 짓는 등 부산에 도움이 되는 방안을 찾으라는 논리였다.

실제 비슷한 시기 전정근 HMM 해원연합노조위원장은 “유보금을 부산 발전에 활용하는 것이 낫다”며 항만 인근 지역에 돔구장을 짓는 방안을 언급하기도 했다. 지역 사회에서는 HMM 노조 등의 사례를 들어 북항 야구장이 실제로 추진되면 다양한 방식으로 자금 조달이 이뤄질 수 있다는 의견도 나오고 있다.

북항 야구장 건립 논의가 다시 활기를 띠면서, 가장 적극적으로 환영 의사를 밝히고 있는 곳은 북항 인근 지역의 시민사회다. 북항 야구장이 공회전하고 있는 북항 재개발 분위기를 확연히 뒤집을 수 있어서다.

30일 관련 회의를 진행한 북항미래포럼 조한제 대표는 “당연히 환영하는 말들이 나왔다. 야구장이 상업적 성격을 넘어서는 공공성을 지니고 있어 랜드마크 부지의 애초 취지에도 부합한다는 의견도 나왔다”며 “관련 기관들이 대승적 차원에서 부산의 미래를 그려보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김백상 기자 k103@busan.com

당신을 위한 뉴스레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