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 하구 통합물관리 시스템 구축을 위해 낙동강 하구를 국가 통합물관리 1호 사업으로 지정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왔다. 낙동강 하구는 2022년 전국에서 처음으로 수문 상시 개방이 이뤄진 곳이다.
낙동강하구기수생태계복원협의회는 지난 9일 부산시민운동지원센터에서 ‘낙동강 하굿둑 개방과 기수생태계 복원을 위한 전문가 세미나’를 개최했다.
협의회에 따르면 발제를 맡은 가톨릭관동대 박창근 교수는 낙동강 하류지역 통합물관리 체계 구축과 실시간 대응이 가능한 수문 운영 시스템 도입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또 김해평야 일대 지하수 염분은 수문 개방과 무관하다며, 환경부가 수문 개방에 미온적인 점에 대해 비판했다.
세미나에서는 하굿둑 개방을 통한 기수역 복원이 생태뿐만 아니라, 농업, 식수, 산업용수 등 통합물관리 차원에서 검토돼야 한다는 시민사회 관계자들의 주장도 나왔다. 또 2022년 1개 수문을 개방하는데 그치고, 이후 개방 확대 추진 등은 미비하다는 아쉬움도 제기됐다.
협의회 강호열 대표는 “정부 조직의 개편도 고려해야 할 시점”이라며 “이런 문제를 구체적으로 논의하기 위한 전문가 장 마련, 시민여론 조성도 필요하다”고 밝혔다.
협의회는 이 같은 논의를 바탕으로, 14일 부산유라시아플랫폼에서 국가하구생태복원전국회의와 함께 ‘국가 하구관리 패러다임 전환을 위한 국정과제 채택 정책포럼’을 열 계획이다. 포럼에서는 하굿둑 개방 1호인 낙동강 하구의 통합물관리 1호 사업 지정 국정 과제화 등이 중점적으로 논의될 전망이다.
협의회 측은 “낙동강 하굿둑 개방을 계기로 금강, 영산강의 하굿둑 개방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며 “하굿둑 개방 이후의 문제를 잘 예측하고 잘 관리할 운영시스템 구축 필요성이 어느 때보다 높다”고 밝혔다.
손혜림 기자 hyerimsn@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