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아파트 제로에너지 눈앞… 84㎡ 분양가 293만 원 오른다

입력 : 2025-05-18 18:12:27
페이스북 페이스북 카카오 프린트

정부, 내달 5등급 의무화 심사
태양광·지열 등 친환경 설비 추가
건설업계 "초기 투자비용 부담"
전기료·유지비 절감 효과 기대

정부가 6월 말부터 민간 아파트에도 제로에너지건축물(ZEB) 제도를 의무화할 예정이어서 아파트 분양가에도 영향을 미칠 예정이다. 건설업계는 제로에너지건축물 인증을 위해 기술개발에 나서고 있다.

ZEB란 온실가스 감축을 위해 에너지 절약형으로 지은 건축물을 말한다. 인증제도는 모두 6단계가 있다. 에너지자립률이 20~40% 미만이면 5등급, 40~60% 미만이면 4등급 등이며 120% 이상이면 플러스 등급을 받게 된다. 민간 아파트를 짓는 건설사들은 최소한 5등급 기준을 맞춰야 한다.

18일 건설산업연구원에 따르면 준공된 건물 운영 단계에서 배출되는 탄소는 건설산업 전 생애주기 탄소배출량의 65%에 이른다. 2050년 탄소중립 목표를 세운 정부도 이런 점을 고려해 ZEB 인증 제도를 도입했다.

이 제도는 단열과 고기밀을 통해 에너지 효율을 높이고, 신재생에너지를 활용해 에너지 자립률을 높이는 건축물에 인증을 주는 제도다. 공공 분양이나 임대 아파트는 이미 지난해부터 적용했다.

정부는 1000㎡ 이상 민간 건축물과 30가구 이상 민간 공동주택에 대해서도 ZEB 5등급 수준 설계를 의무화하기로 하고 다음 달 말 시행을 목표로 규제 심사를 진행 중이다.

하지만 건설업계에는 ZEB 의무화가 부담으로 작용한다. 업계는 자재비와 인건비 상승으로 공사비가 계속 오르는 가운데 ZEB 인증 기준까지 맞추려면 친환경 설비와 자재, 기술을 추가 적용해야 해 분양가 상승으로 이어진다고 말하고 있다.

건설업계는 ZEB 5등급 수준을 적용할 경우 전용면적 84㎡ 기준으로 가구당 공사비가 최소 293만 원가량 추가될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하지만 에너지효율이 높아지면 입주민들이 생활하면서 내는 전기요금 등을 아낄 수 있어 장기적으로는 이득이 된다는 지적도 있다.

제로에너지건축물 인증시스템에 따르면 현재까지 주거용 건축물이 ZEB 5등급을 받은 사례는 예비인증과 본인증을 합쳐 176건이지만 대부분 공공주택이다.

업계 한 관계자는 “태양광, 에너지저장장치(ESS), 지열 등 핵심 시스템을 갖추자면 초기 투자비용 부담이 생길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다만 주요 건설업체들도 이런 흐름 자체를 거스를 수는 없다고 보고 건축물에 적용 가능한 탄소배출 저감 기술을 다각도로 검토하며 비용 대비 효과가 큰 기술을 찾는 데 노력하고 있다.

건축물에 적용되는 제로에너지 기술은 △고성능 단열재와 창호 등으로 에너지의 외부 유출을 최소화하는 패시브 기술 △고효율 조명과 냉난방공조 시스템 등으로 에너지 효율을 높이는 액티브 기술 △태양광이나 지열 등 신재생에너지를 이용한 자체 에너지 생산으로 구분된다.

GS건설이 최근 공개한 에너지 절약형 조명도 액티브 기술 중 하나다. 초고효율 발광다이오드(LED)와 사물인터넷(IoT) 기반 스마트 제어 기능을 갖춰 종전 대비 에너지 소모를 30~50% 줄여 전기료 절감과 더불어 탄소배출 감소 효과를 실현했다는 것이다.

한 건설업계 관계자는 “초기 투자비용이 높아 분양가가 오를 가능성은 있지만 시간이 지나면 손익분기점을 넘어 건물 유지비를 실제로 아끼는 효과가 발생할 것인만큼 소비자에게는 유리할 수 있다”고 말했다.

김덕준 기자 casiopea@busan.com

당신을 위한 뉴스레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