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8 광주 민주화운동 45주년인 18일을 전후해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국민의힘 김문수, 개혁신당 이준석 등 각 정당 대선후보가 일제히 광주에 모여 ‘5월 정신’ 계승을 다짐했다.
이재명 후보는 이날 광주 국립 5·18민주묘지에서 열린 45주년 기념식에 민주당 의원들과 함께 참석했다. 이재명 후보는 기념식을 끝난 뒤 취재진과 만나 “언제나 5월은 아름다운 계절이기도 하지만 가슴 아프고 슬픈 계절”이라며 “유족들과, 여전히 고통받는 피해자들에게 위로의 말씀을 드린다”고 애도했다. 그러면서 “민주당 의원 전원이 광주 5·18 (민주화운동) 기념식에 함께 해주셨다”며 참석한 민주당 의원들과 함께 추모 인사를 전했다.
기념식에 함께 참석한 이준석 후보도 기자들에게 “이미 5월 초에도 저희 당원들이 5월 영령 한 분 한 분에게 올리는 편지를 써서 묘역에 남기고 왔다”며 “개혁신당은 앞으로도 광주의 영령을 모시는 데 소홀함이 없을 것”이라고 약속했다. 이어 “지금까지 보수 진영 일각에서 이런 움직임에 대해서 부정적인 사람도 있었지만, 저희는 꾸준히 노력할 것”이라며 “(5·18 이후) 45년 만에 비상계엄 사태를 보며 많은 분이 충격을 받았고, 광주 시민의 충격이 더했을 것이다. 빨리 대한민국의 모든 것이 제자리로 돌아갔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김 후보는 이날 기념식에는 불참했고 서울에서 경제 공약을 발표했는데, 하루 앞서 묘역을 찾았다. 전날인 17일 김 후보는 ‘임을 위한 행진곡’의 모티브가 된 박기순·윤상원 열사의 묘소와 박관현 열사 묘소, 무명 열사 묘소 등을 둘러본 뒤 방명록에 ‘오월광주 피로 쓴 민주주의’라고 썼다. 특히 박 열사 묘소에서 눈물을 흘리며 “제가 박관현 (열사) 방에서 수감 생활했다. 박관현 (열사가) 죽은 뒤 제가 들어가서 1년 동안 생활했다. (박 열사) 누님이 살아계시는데 누님이 매년 오신다. 너무나 아픈 추억이 떠오른다”고 말했다.
김 후보의 기념식 불참과 관련, 이재명 후보는 “정치 이전에 사람에 대한 최소한의 도리라고 생각한다”며 “지금이라도 대오각성하고 오늘 저녁에라도 와서 반성의 취지로 참배를 하기 바란다”고 비판했다.
이처럼 후보들이 일제히 광주의 민주화 운동 정신을 기렸지만 이를 둘러싸고도 정쟁이 벌어지면서 유권자들은 눈살을 찌푸려야만 했다. 민주당 중앙선거대책위원회 박경미 대변인은 논평에서 “지난겨울 헌정 질서와 민주주의를 파괴하려 했던 극우 내란 세력을 완전히 진압하지 않는 한 5월 광주 정신은 또다시 폄훼 당하고 민주주의는 짓밟힐 것”이라며 “다시는 내란을 꿈꾸지 못하도록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제2의 윤석열이 나올 수 없도록 만들어야 한다”며 “6·3 대선에서 내란 수괴 윤석열과 그 추종 세력들을 퇴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여기다 조국혁신당 김선민 대표 권한대행 역시 국립 5·18 민주묘지에서 “5·18 광주 정신은 저항이자 나눔이고, 그 목소리가 12·3 계엄을 막아내는 국민의 원동력이 됐다”며 “그러나 내란 세력은 여전히 창궐하고 있다”고 국민의힘 비판 대열에 합류했다.
이에 국민의힘 중앙선대위 신동욱 수석대변인은 논평을 통해 “우리는 5.18 영령들의 희생이 헛되지 않게 5월 정신을 계승해야 하는 막중한 역사적 사명을 부여받았다. 5·18 정신 아래 어떤 부패나 독재도 있을 수 없다”면서 “지금 대한민국은 민주당식 독재로 삼권분립의 근간이 흔들리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5·18은 통합과 화합의 계기가 돼야 한다”며 “더 이상 갈등과 반목을 부추기는 소재로 악용되어서는 안 된다”고 덧붙였다.
이은철 기자 euncheol@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