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에서 교사가 반복적인 행정 업무를 줄이고 수업에 전념할 수 있도록 모든 학교에 ‘AI 비서’가 도입된다. 무고한 아동학대 신고 등으로 교육 활동이 침해됐을 경우 법률 지원이 강화되며, 현장체험학습 시 인솔 교사의 부담을 덜기 위한 안전요원 배치와 컨설팅도 확대된다.
부산시교육청은 이 같은 내용을 담은 ‘교원 행정업무 경감 방안’을 본격 추진한다고 14일 밝혔다.
먼저 부산의 모든 교사에게 올 하반기부터 AI 비서를 제공해 반복적인 행정 업무 부담을 줄이기로 했다. AI 비서는 각종 매뉴얼 요약, 업무 절차 검색, 계획서 초안 작성, 일정 정리 등 단순 업무를 자동화해 교사의 행정 부담을 크게 덜어줄 것으로 기대된다. 시교육청 관계자는 “어떤 AI 모델을 사용할지는 아직 정해지지 않았다. 정보 유출이나 보안 문제가 생기지 않도록 꼼꼼히 도입을 준비하겠다”고 말했다.
교사의 행정 업무를 맡는 ‘교무행정전담팀’도 일반 학교까지 확대된다. 전담팀이 수업과 무관한 행정을 맡고, 교사는 교육 활동에 집중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는 것이다. 기존에는 일부 다행복학교에만 적용됐지만, 시교육청은 올 하반기 학교별 의견을 수렴한 뒤 내년부터 전면 확대할 방침이다.
교육 활동 침해에 대한 대응도 강화된다. 법률 자문과 소송 지원을 확대하고 악성 민원은 교육청 차원에서 대응할 예정이다. 무고한 아동학대 신고에도 법적 지원을 강화한다. 침해 발생 초기부터 개입하는 ‘원스톱 지원단’도 운영된다. 시교육청은 반복적이고 고의적인 민원에 대해서는 형사 고발까지 검토할 방침이다.
교권보호공제 보장 범위도 넓어진다. 올해부터는 교권보호위원회 개최 여부와 관계없이 학교장 의견서만으로도 치료비와 심리상담비를 각각 최대 200만 원, 150만 원까지 지원받을 수 있다. 재산 피해는 물품당 최대 100만 원, 재판 대응에는 건당 최대 50만 원까지 법률 대리인 선임비가 지급된다.
현장체험학습과 관련한 교사의 부담을 덜기 위한 지원도 이뤄진다. 최근 개정된 학교안전법 시행에 따라 시교육청은 지난달 1차 추경에서 9억 5000만 원을 편성해 모든 학교에 안전요원 배치비를 지원하고 있다. 그동안 대규모 수학여행에만 제공됐던 맞춤형 컨설팅도 희망 학교 전체로 확대된다. 교사의 사전답사 부담을 덜기 위한 공동답사 프로그램도 계속 운영될 예정이다. 시교육청에 따르면 지난해부터 학교행정지원본부가 지원한 공동답사의 만족도는 95%로 나타났다.
김석준 부산시교육감은 “교사들이 수업과 학생 지도에 몰입할 수 있는 학교환경 조성은 교육청의 최우선 과제”라며 “앞으로도 현장의 목소리를 적극 반영해, 학생의 올바른 성장을 이끌 수 있도록 교사를 지원하는 정책을 지속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이상배 기자 sangbae@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