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NK 연말까지 총 800억 원 자사주 소각

입력 : 2025-07-28 18:17:53
페이스북 페이스북 카카오 프린트

1차로 내달 400억 원 첫 시행
하반기에 같은 규모 추가 방침
유통 주식 수 줄여 주주에 이익
정부 주주환원 장려 정책 부응

400억 원의 자사주 소각에 나선 BNK금융그룹이 정부의 주주환원 장려 정책에 발맞춰 올 하반기에도 최소 400억 원 규모의 자사주 소각을 추가로 단행할 전망이다. 문현금융단지 내 BNK부산은행 본점. 부산일보DB 400억 원의 자사주 소각에 나선 BNK금융그룹이 정부의 주주환원 장려 정책에 발맞춰 올 하반기에도 최소 400억 원 규모의 자사주 소각을 추가로 단행할 전망이다. 문현금융단지 내 BNK부산은행 본점. 부산일보DB

BNK금융그룹이 주주 가치 제고를 위해 400억 원 규모의 자사주 소각에 나선다. 올 하반기에도 최소 400억 원 규모의 자사주 소각을 추가로 단행할 것으로 보여 역대 최대 800억 원 규모의 자사주 소각이 이뤄질 전망이다. 자사주 매입 후 소각은 유통 주식 수를 줄이고, 주당 배당금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어 시장에서는 호재로 인식된다. 다른 금융지주 회사들과 마찬가지로, 이재명 정부의 주주환원 장려 정책에도 발을 맞춘 것으로 보인다.

28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BNK금융지주는 지난 25일 400억 원 규모의 자사주(보통주 395만 8365주)를 취득했다. 전체 주식 대비 1.24%에 달하는 규모다. 앞서 BNK금융은 지난 2월 이사회에서 매입 후 소각 자사주 규모를 결정했고, 다음 달 14일 소각할 예정이다. 당시 기업가치 제고(밸류업)의 일환으로, 역대 최대 규모인 400억 원 규모의 자사주 소각을 결정했는데, 이에 그치지 않고 BNK금융은 올 하반기에도 추가로 최소 400억 원 규모의 자사주 소각을 단행한다는 계획이다.

BNK금융 관계자는 “2027년까지 주주환원율을 50%까지 끌어올리겠다는 발표를 한 바 있다”면서 “이를 위해 올해 주주환원율을 30% 후반대인 37~38%까지 올릴 필요가 있고 이에 따라 자사주 소각을 결정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특히 이명박 정부가 출범 후 주주환원 정책을 강조해온 만큼 BNK금융도 이런 정부 정책 방향에 적극 응하겠다는 취지로 이번 자사주 매입과 소각을 결정한 것으로 보인다.

자사주 소각은 기업이 자기 주식을 사들인 이후 없애는 것을 말한다. 유통 주식 수가 줄면서 주당순이익(EPS)과 주당순자산(BPS)이 높아지기 때문에 배당과 함께 대표적인 주주환원 정책으로 꼽힌다. 또한 기업가치가 저평가됐다고 판단할 때 자사주 소각이 이뤄진다는 인식이 있어 시장에서는 이를 기업의 자신감으로 해석한다.

주주환원율은 소각 금액과 배당 금액을 합친 것을 말한다. BNK금융의 주주환원율은 2020년 21.3%이던 것이 매년 상승해 지난해에는 33%까지 올라왔다. 당초 30%가량이었는데, 삼정기업 대손충당금 등의 영향으로 당기순이익이 줄면서 주주환원율이 33%까지 올라갔다.

BNK금융은 오는 31일 기업설명회(IR)를 열고 2분기 경영 실적을 발표할 예정이다. 이날 오전 열리는 이사회에서 자사주 소각 금액이 최종 결정될 전망인데, BNK금융은 최소 상반기 금액인 400억 원 이상은 하겠다는 방침이다. 2분기에는 실적 개선이 이뤄져 순이익 규모가 2000억 원 이상이 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올해 주당 배당금도 지난해 650원 수준보다 더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

이 같은 호재에도 불구하고 이날 BNK금융지주의 주가는 4.94% 하락한 1만 4430원에 마감했다. 이재명 대통령의 은행 ‘이자놀이’ 경고 발언과 금융당국의 발 빠른 관계 기관 회의 소집, 배당소득 관련 세제 개편 이슈로 투자심리가 한풀 꺾일 것으로 예상한 투자자들이 많았던 탓으로 풀이된다. 이날 BNK금융뿐 아니라 iM(-7.91%), 하나(-8.86%), KB(-6.99%) 등 금융주 대부분이 하락세를 면치 못했다.

BNK금융 관계자는 “다른 금융지주들에 비해 하락폭이 크지 않았으며 이날 BNK 주식의 경우 기관과 개인투자자 매도는 많았던 반면 외국인들은 68만 주를 사들였다”고 말했다.

이현정 기자 yourfoot@busan.com

부산온나배너
부일영화상
영상제

당신을 위한 뉴스레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