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해양 전 분야 아울러 ‘글로벌 해양도시’ 큰 그림 그린다 [해양수도 부산]

입력 : 2025-07-30 19:30:00
페이스북 페이스북 카카오 프린트

시, 해양도시 구상회의 첫 개최

해양수산부 부산 이전 계기로
조선·물류·금융·기업 전문가와
새 어젠다 설정하고 정책 논의
“앞으로 거시적 단위 과제 도출”
민관협력 해양자치권 추진협
“하나의 컨트롤타워 마련 필요”

부산시가 글로벌 해양수도 부산을 만들기 위한 장기 계획 마련에 나섰다. 지난 6월 ‘글로벌 해양 허브도시 부산’을 주제로 열린 부산시의 제 22차 미래혁신회의 모습(아래)과 부산항 북항 전경. 부산일보DB 부산시가 글로벌 해양수도 부산을 만들기 위한 장기 계획 마련에 나섰다. 지난 6월 ‘글로벌 해양 허브도시 부산’을 주제로 열린 부산시의 제 22차 미래혁신회의 모습(아래)과 부산항 북항 전경. 부산일보DB

해양수산부 부산 이전이 급물살을 타고 있는 가운데 부산시가 이에 호응해 부산을 글로벌 해양도시로 만들기 위한 중장기 계획 마련에 나섰다. 해수부·관련 공공기관 부산 이전, 북극항로 개척 등을 계기로 부산이 해양수도로 나아갈 큰 청사진을 그리기 위해서다.

부산시는 지난 28일 ‘글로벌 해양도시 전략 구상회의’(이하 해양도시 구상회의)를 처음으로 개최했다. 해양도시 구상회의는 해수부·관련 공공기관 부산 이전과 북극항로 개척 등 개별 사업과는 별개로 부산을 해양도시로 만들기 위한 메가 프로젝트를 구상하고 관련 어젠다를 논의하기 위한 협의체다.

시는 그동안 ‘북극항로 개척 전담조직’ ‘해양수산부 이전 지원팀’ 등 개별 사안에 대한 대응 방안 마련에 집중했지만 정부 차원에서 국가 해양 기능 자체를 부산으로 집적시키려는 노력이 벌어지는 데 대해 향후 부산이 나아갈 도시 모습이나 그에 필요한 정책 등에 대한 논의는 본격적으로 진행하지 않았다.

시 차원의 첫 발걸음이 해양도시 구상회의라고 할 수 있다. 해양도시 구상회의는 장기적인 관점에서 글로벌 해양도시 부산의 어젠다를 설정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한 각종 정책과 과제 등을 도출하는 게 목표다. 각 기관·민간 단위에서 해수부·공공기관 이전, 해운 물류기업 이전, 북극항로 개척 등 개별 사안을 다루는 회의는 많았으나 부산 해양의 전 분야를 아우르는 정책회의는 이 구상회의가 처음이다.

다양한 분야를 아우르는 만큼 회의에는 해양, 조선, 물류, 금융, 기업 등 해양 관련 전 분야 전문가들이 참여한다. 부산시는 각 부문 전문가들로부터 의견을 듣고 해당 분야 장기 과제를 도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28일 열린 첫 회의에서 전문가들은 메가프로젝트 발굴과 어젠다 설정에 대한 공감대를 확인했다. 구상회의는 다양한 주제로 정기적으로 열릴 전망이다. 부산시 해양수도팀 관계자는 “해수부 부산 이전 계기로 부산 해양도시의 모습을 중장기적으로 논의해 보기 위해 마련됐다”며 “앞으로의 회의에서는 좀 더 분야를 좁혀서 거시적인 단위에서의 과제들을 도출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구상회의와 함께 지역 사회에서 차원에서의 해양수도 부산에 대한 논의도 이어지고 있다.

2019년 4월 구성된 민관협력 거버넌스인 ‘해양자치권 추진협의회’(이하 추진협의회)는 지난 18일 오후 5시 부산시청에서 ‘2025년 제2회 해양자치권 추진회의’를 개최했다. 추진협의회는부산시와 시민단체를 비롯해 업계, 학계 등 전문가들로 구성돼 있다.

추진회의는 분기별로 진행돼 왔다. 이번에 추진협의회는 부산 해양자치권 확보라는 새로운 주제를 놓고 심도 있는 논의를 펼쳤다. 기존의 해서법원 설립 논의에 그쳤던 주제를 이번에 크게 확대한 것이다. 새 정부 출범으로 해양수도라는 새 판이 깔리면서 지역의 관련 논의기구가 새로운 방향 정립을 했다고도 볼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현재 해수부 부산 이전을 계기로 여러 사안들을 시 내부 개별 부서 차원이 아니라 하나의 컨트롤타워를 마련해 할 대응할 필요가 있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박재율 해양자치권 추진협의회 의장은 “부산시에 해양 전문 부시장을 두는 방향을 비롯해 하나의 컨트롤타워 밑에서 해수부 부산 이전, 북극항로, 공공기관 이전 등이 이뤄지는 방향 등을 논의하고 있다“고 전했다.

박혜랑 기자 rang@busan.com

부산온나배너
부일영화상
영상제

당신을 위한 뉴스레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