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 정기국회 개막에 맞춰 부산시가 국민의힘 부산시당과 예산정책협의회를 열고 지역 핵심 현안을 논의했다. 부산시는 이 자리에서 ‘BuTX’(부산형 급행철도) 구축 사업의 국토부 국가철도망 계획 반영과 민자 적격성 조사 통과를 위해 국회의 협조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4일 오전 서울 여의도에서 열린 이번 협의회에는 박형준 부산시장과 이준승 행정부시장을 포함한 부산시 관계자 20여 명과 국민의힘 정동만 부산시당위원장을 포함한 지역 국회의원 전원이 참석했다. 약 1시간 30분 가량 진행된 회의에서는 박 시장의 대표 공약인 BuTX 구축 사업을 비롯해 해양수산부 부산 이전, 해사전문법원 설립 등 주요 현안이 논의됐다.
안건을 설명한 김경태 부산시 기획조정실장은 “BuTX가 가덕신공항 개항 시기에 맞춰 개통하고, 부울경 30분대 생활권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민자 적격성 조사를 조속히 통과해야 한다”며 “국토교통부의 제5차 국가철도망 계획안에 이 사업이 반영될 수 있도록 협조를 부탁드린다”고 말했다.
BuTX는 가덕신공항에서 명지, 하단, 북항, 부전, 센텀, 오시리아를 연결하는 급행철도다. 총길이는 5만 4043km로, 사업비 4조 7692억 원이 투입된다. 부산시는 2023년 11월 한국개발연구원(KDI)에 민자 적격성 조사를 의뢰해 심사 결과를 기다리는 중이다. 지난해 5월에는 BuTX를 제5차 국가철도망 구축 계획에 포함해 달라고 국토부에 건의했다.
박 시장은 이날 협의회에서 국회의 적극적인 역할을 요청했다. 그는 “부산시의 역점 사업 중에 정부 예산이 아직 미처 반영되지 않은 사업들이 있다”며 “국회 예산심의 과정에서 의원님들이 적극적으로 반영해 주시길 바란다”고 말했다.
박 시장은 핵심 현안으로 가덕신공항 사업과 해수부 이전 문제를 꼽았다. 그는 “가덕신공항 사업을 신속히 추진하기 위해 정부와 적극적으로 협의하고 있지만 국회에서 관심을 가져주시는 게 중요하다”며 “신속히 재입찰이 진행되고 가덕신공항이 적기에 개항할 수 있도록 힘을 합쳐 주시기 바란다”고 강조했다.
해수부 이전과 관련해서는 “청사 이전은 물론 관련 기관과 해운·물류 기업 본사를 부산으로 이전하는 것을 포함해 여러 과제가 있다”며 “이런 과제들을 차질 없기 진행하기 위해 힘을 모아 주시길 부탁드린다”고 밝혔다.
박 시장은 이 자리에서 산업은행 이전 필요성을 다시 한 번 강조했다. 박 시장은 “해양수도·해양금융허브를 만들기 위해서는 부산글로벌허브도시 조성 특별법 통과와 산업은행 이전이 대단히 중요하다”며 “2차 공공기관 이전이 예고된 만큼 산업은행 이전이라는 과제를 포기하지 않고 지속적으로 관철시켜 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정동만 부산시당위원장은 인사말에서 “이번 정기국회를 계기로 부산글로벌법허브도시 조성 특별법. 해수부 이전, 가덕신공항, 북항재개발 등 핵심사업 추진을 위해 한마음이 돼 부산 발전을 이끌어야 한다”며 “국비 확보부터 공모 사업까지 부산시와 부산 의원들이 긴밀히 협력해서 좋은 성과를 만들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어진 비공개 회의에서는 지역별 핵심 현안을 중심으로 대응 방안을 논의했다. 참석자들은 정부가 예산을 편성하기 전인 2~3월부터 사전 논의를 통해 국비 확보 전략을 마련해야 한다는 데 뜻을 모았다. 또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소속 김대식 의원과 이성권 의원의 역할을 기대하는 목소리도 나왔다.
정책 제언도 이어졌다. 김도읍 의원은 박 시장을 향해 “해양수도 부산을 만들기 위해 부산시가 키를 잡고 사업을 추진해야 한다”는 의견을 밝혔다. 그는 이재명 대통령이 해양수도 부산 육성을 약속한 만큼 부산시가 정부에 일방적으로 끌려가기보다는 주고받는 관계를 만들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박 시장도 이에 공감한다는 뜻을 밝힌 것으로 전해졌다.
한편 일부 의원은 논의 안건에서 자신들의 지역 현안이 빠진 점을 두고 불만을 드러냈다. 부산시는 “순조롭게 진행 중인 사안은 반영하지 않았다”는 입장을 내놨지만, 협의회 안건을 마련하는 과정에서 지역별 안배가 부족했다는 지적이 이어졌다.
탁경륜 기자 takk@busa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