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FF 2025] 역대급 상차림에 역대급 인파, BIFF 전반부 흥행 ‘물결’

입력 : 2025-09-21 18:26:41
페이스북 페이스북 카카오 프린트

거장·스타 보려는 팬들 연일 ‘북적’
BIFF 측 게스트 초청 신경 쓴 결과
매기 강 오픈토크 땐 발 디딜 틈 없어
마스터 클래스·씨네 클래스 ‘인기’
포럼 비프와 ACFM에도 큰 관심
이재명 대통령 부산 찾아 영화 관람
“영화산업 근본부터 성장하게 관심”

제30회 부산국제영화제(BIFF) 개막 5일째인 21일 해운대구 영화의전당에서 대만 출신 배우 서기의 영화 ‘소녀’의 포토콜 행사가 진행되고 있다. 정종회 기자 jjh@ 제30회 부산국제영화제(BIFF) 개막 5일째인 21일 해운대구 영화의전당에서 대만 출신 배우 서기의 영화 ‘소녀’의 포토콜 행사가 진행되고 있다. 정종회 기자 jjh@
이재명 대통령과 김혜경 여사가 지난 20일 영화의전당에서 BIFF 공식 상영작 '극장의 시간들'을 관람하고 관객과의 대화에 참석해 웃고 있다. 연합뉴스 이재명 대통령과 김혜경 여사가 지난 20일 영화의전당에서 BIFF 공식 상영작 '극장의 시간들'을 관람하고 관객과의 대화에 참석해 웃고 있다. 연합뉴스

올해로 30회를 맞은 부산국제영화제(BIFF)가 전반부 흥행 몰이에 성공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열흘간의 축제 중 개막 닷새째인 21일 영화제 주 무대인 부산 해운대구 영화의전당 일대는 '시네마천국'을 만끽하려는 인파로 발 디딜 틈이 없었다. 오픈토크와 무대 인사가 수시로 열리는 야외무대는 국내외 스타들을 눈앞에서 만나려는 팬들로 하루 종일 붐볐다.

선임 6개월 만에 영화제를 지휘하고 있는 BIFF 정한석 집행위원장은 예년 분위기와 비교해 달라는 요청에 “비교 자체가 불가능하다”라며 “역대급 거장과 스타들로 채워진 게스트 라인업을 봐 달라”고 강조했다. BIFF 측은 서른 살 잔칫상 차림에서 게스트 초청에 가장 신경을 썼고, 실제로도 전반부 흥행을 주도한 요인으로도 화려한 게스트 면면이 꼽힌다.

이날 오후 야외무대에서 열린 매기 강 감독의 오픈토크 때에는 몰려든 취재진과 팬들로 통행이 어려울 정도였다. ‘케이팝 데몬 헌터스’로 전 세계적 K팝 열풍을 일으킨 강 감독은 개막식 참석부터 시작해 싱어롱 상영회, 오픈토크까지 소화하며 전반부 흥행을 이끌었다.

영화에 좀 더 깊이 빠져들려는 시네필은 거장과의 특별한 만남의 장으로 몰리고 있다. 자파르 파나히를 필두로 마이클 만, 세르게이 로즈니차, 마르코 벨로키오, 줄리엣 비노쉬로 이어지는 ‘마스터 클래스’가 대표적이다. 강동원, 매기 강, 손석희, 은희경, 봉준호 등 각계 저명인사의 최애 영화를 만나는 ‘까르뜨 블랑슈’, 폴 앤더슨, 코고나다, 라 프란시스 후이 등이 이야기를 들려주는 ‘씨네 클래스’도 인기다.

‘멸종위기’라는 말이 나올 정도로 한국 영화산업이 어려운 가운데 열린 영화제인 만큼 영화인과 팬들의 관심과 애정이 높아진 점도 흥행 요소로 꼽힌다. 이는 단순한 영화 관람을 넘어 위기 원인을 진단하고 대책을 논의하는 ‘포럼 비프’와 영화와 콘텐츠 거래가 진행되는 ‘아시아콘텐츠&필름마켓’(ACFM)이 연일 장사진을 이루는 것으로 이어졌다.

영화산업을 살리기 위한 지원을 여러 차례 공언한 이재명 대통령의 깜짝 방문과 영화 관람도 BIFF 초반 이목을 끈 요인으로 꼽힌다. 이 대통령은 개막 나흘째인 지난 20일 오후 영화의전당에서 이종필, 윤가은 감독의 공식 상영작 ‘극장의 시간들’을 부인 김혜경 여사와 함께 관람했다. 이 대통령은 이 자리에서 “영화 제작 생태계가 나빠지고 있다는데, 정부도 영화산업이 근본부터 충분히 성장할 수 있게 관심을 갖겠다. 부산국제영화제 30주년을 축하하고 감사드린다”고 말하며 BIFF와 한국 영화를 응원했다.

30회 BIFF의 흥행은 뭐래도 완성도 높은 상영작들이 있었기 때문에 가능했다. 세계 거장들의 최신작을 소개하는 ‘아이콘’ 섹션에는 역대 최다인 33편이 초청됐다. 칸영화제에서 감독상·남우주연상을 휩쓴 ‘시크릿 에이전트’, 한국 영화 ‘지구를 지켜라’를 리메이크한 요르고스 란티모스 감독의 ‘부고니아’, 코고나다 연출·콜린 퍼렐과 마고 로비 주연의 ‘빅 볼드 뷰티풀’, 양조위와 레아 세두의 ‘사일런트 프렌드’, 라슬로 네메스 감독의 ‘나의 이름은’ 등 역대급 작품들이 예매 초반 매진 행렬을 주도했다.

경쟁부문 도입과 '부산 어워드' 시상은 영화제 후반부까지 BIFF의 흥행을 주도할 것으로 보인다. 경성대 연극영화학부 강내영 교수는 “경쟁부문 도입으로 영화제의 긴장도가 높아진 것 같다”며 “이런 분위기는 수상작이 선정되는 폐막일까지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BIFF 관계자는 “지난해 전반부에 이벤트와 행사가 몰리면서 후반부가 너무 썰렁했다는 비판이 있었다”며 “올해는 다를 것”이라고 공언했다. 실제로 후반부가 시작되는 22일 이후로도 경쟁부문 상영과 기자회견을 비롯해 양조위, 이창동, 두기봉, 션 베이커, 줄리엣 비노쉬 등 거장과 만나는 시간이 줄줄이 계획돼 있다.

김희돈 기자 happyi@busan.com , 남유정 기자 honeybee@busan.com

금정산챌린지
영상제

당신을 위한 뉴스레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