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 달 말 경북 경주시에서 열리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를 앞두고 지난 22일 이재명 대통령이 ‘전 국민 대청소 운동’을 제안하면서 부산 일선 지자체들도 대대적인 지역 청소에 나서고 있다. 부산을 찾는 ‘손님맞이’ 차원에서 바람직하다는 반응과 함께 정부 주도로 국민을 청소에 동원하는 ‘시대착오적 발상’이라는 시각이 엇갈리고 있다.
25일 부산 지역 16개 구·군에 따르면 지자체들은 지난 22일부터 ‘대한민국 새 단장 주간(이하 새 단장 주간)’을 맞아 집중 청소와 청결 캠페인 등을 전개하고 있다. 새 단장 주간은 이 대통령이 제안한 전 국민 대청소 운동이다. 지난 22일 다음 달 예정된 추석 연휴와 APEC 정상회의를 앞두고 이 대통령은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 계정에 “다음 달 1일까지 생활 환경이 열악한 지역 등에서 벌이는 집중적인 정화 활동에 국민이 동참해달라”고 했다.
대부분 지자체는 대통령 제안에 발맞춰 정화 활동에 돌입했다. 부산진구청은 지난 22일 오후 부산 최대 상권이자 많은 국내외 관광객이 찾는 서면1번가 상상마당과 서면2번가 놀이마루 일대에서 부산시, 유관 단체 등과 함께 환경 정비를 했다. 북구청도 같은 날 덕천동 교차로 일대에서 공무원과 유관 단체 회원 40여 명이 폐기물을 수거하고 새 단장 주간을 홍보했다.
다음 달 17일 개막을 앞둔 전국체전 준비도 청소 열기에 불을 붙였다. 연제구청은 전국체전 개막식이 열리는 부산아시아드주경기장 일대와 성화 봉송 구간 등을 중심으로 지난 15일부터 환경 정비를 펼치고 있다. 2022년 7월 이후 월 1회 공무원과 주민이 함께하는 '동래구민 청소하는 날'을 운영해온 동래구청은 지난 17일 동래구민 청소하는 날을 새단장 주간과 연계한 '집중 청소의 날'을 진행했다. 부산 지자체들은 주요 관광지, 기차역 등을 중심으로 집중적인 환경 정비 계획을 세웠다.
지자체들은 지역 내 유동 인구가 많고 쓰레기 무단 투기 등으로 환경 오염·훼손이 잦은 곳에 인력을 집중 투입하고 있다. 지자체들은 해당 장소에서 쓰레기 수거와 잡초 제거와 같은 환경 정화는 물론 시설물 보수와 불법 점용 정비 등 도시 정비 등 청소를 넘어선 정비도 병행하고 있다. 수영구청 등 상당수 지자체는 새 단장 주간 이후인 11월 초까지 일상적인 업무 수준보다 강화된 특별 환경정비를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전 국민 대청소 운동을 두고 반응은 엇갈린다. 김 모(40·부산 부산진구) 씨는 “전국체전, APEC 정상회의 등을 계기로 부산에 다녀갈 많은 사람에게 긍정적인 이미지를 줄 필요가 있다”며 “평소 길거리에 쓰레기가 너무 많다 보니 청소해야겠다는 생각도 잘 못하는데 이번 계기로 잠시라도 시민들이 깨끗한 거리 환경을 접하면 앞으로도 유지하기 위해 관심을 기울일 것 같다”고 말했다.
반면 국민적 동참과 특별한 효과를 기대할 수 없는 방식이라는 지적도 나온다. 한 지자체 공무원은 “몇몇 공무원과 관변단체 회원들이 거리에서 쓰레기를 줍는 방식이 과거 새마을운동처럼 국민적 참여로 이어질지 의문”이라며 “지속적으로 환경을 관리하는 정책이 뒷받침되지 않으면 보여주기 식으로 끝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김동우 기자 friend@busan.com